생활 속 화학, 오해와 진실(2025년 6월호)
- 성완 박
- 6월 2일
- 1분 분량
강상욱 지음 |
자유아카데미 2025. 3. 5. 출간 |
ISBN 9791158086817

목차
프롤로그
1장 물과 바다
생수 1리터에서 미세플라스틱 25만개가 발생되었다고? … 유럽이 한국산 해조류를 수입금지 조치했다고?
2장 주방과 식생활
백미 vs. 현미, 어느 것이 더 중금속에 오염됐을까? … 화학교수는 만두 포장을 하지 않는다고?
3장 미세먼지와 미세플라스틱
우리는 언제 납에 노출되는가?… 검은색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면 발암물질에 노출된다고?
4장 일상생활
레이저 프린터가 실내 공기를 악화시킨다고? … 복합독성의 위력
맺음말
참고문헌
책 소개
물질의 독성과 안전 기준은 고정된 진리가 아니다. 메탄올 워셔액처럼 과거엔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금지된 사례나 과불화화합물(PFAS)의 독성이 점차 밝혀지면서 기준치가 수천 배 강화된 사례는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진다. 지금은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물질도, 미래의 연구 결과에 따라 전혀 다른 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책은 점점 독성 연구가 축적되고 있는 화학물질들, 특히 일상 속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물질들에 주목한다. 국내외의 규제 현황과 최신 연구 동향, 그리고 이들 물질에 우리가 얼마나, 어떻게 노출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동시에 무조건적인 공포 대신, 흡연자의 연기를 피하듯 생활 속에서 실천 가능한 ‘노출 최소화’ 방법을 제시한다. 막연한 케모포비아가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건강한 거리두기. 이 책은 독자들이 과도한 불안에서 벗어나 안전한 일상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용적 안내서이다.
저자소개
강상욱 : 현재 상명대학교 화학에너지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임용 당시 대한민국 최연소 남자대학교수로 화제를 모았다. 2020년 부총리겸 교육부장관상, 2021년 LG젊은공업화학인상, 2022년 한국화학공학회 심강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유튜브 채널(강상욱 교수의 위험한 초대) 및 집필 활동을 통해 과학교양지식을 널리 전파 중이다. 저서로는 ‘케미컬라이프(이준영 공저)’, ‘케미스토리’, ‘두 얼굴의 원소라고?’ 등이 있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