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출출할 땐, 주기율표먹고사는 일에 닿아 있는 금속 열전

곽재식 지음 |

초사흘달 2024. 12. 6 출간 |

ISBN 9791198965608

목 차

시작하며

21. 스칸듐: 야구장 간식을 고르며

22. 타이타늄: 외계인 초코볼을 집어 들며

23. 바나듐: 생수 맛을 음미하며

24. 크로뮴: 쌀밥을 한술 뜨며

25. 망가니즈: 깻잎나물을 무치며

26. 철: 도다리쑥국을 기다리며

27. 코발트: 김밥을 말며

28. 니켈: 초콜릿을 조심하길

29. 구리: 꽃게를 손질하며

30. 아연: 굴전을 부치며

31. 갈륨: 쌈 채소를 씻으며

32. 저마늄: 도라지무침을 먹으며

33. 비소: 곶감 사건을 생각하며

34. 셀레늄: 조기를 구우며

35. 브로민: 어묵탕을 끓이며

36. 크립톤: 포장마차 앞에 서서

37. 루비듐: 곰취나물과 밥을 비비며

38. 스트론튬: 솜사탕을 건네주며

39. 이트륨: 양배추를 썰며

40. 지르코늄: 과자 봉지를 뜯으며

참고 문헌



책 소개

《출출할 땐, 주기율표》는 곽재식 작가가 3년 만에 내놓는 두 번째 주기율표 이야기다. 전작《휴가 갈 땐, 주기율표》에 원자 번호 1번부터 20번까지 스무 가지 원소를 소개한 데 이어《출출할 땐, 주기율표》에는 원자 번호 21번부터 40번까지 스무 가지 원소 이야기를 담았다. 그런데 많은 사람에게 1번부터 20번까지의 원소는 학창시절에 학교에서 외우라고 해서 이름이라도 친숙한 편이지만, 21번부터는 살펴볼 기회조차 많지 않았던 탓에 이름마저 낯선 것들이 대부분이

다. 그래서 저자는 생소한 원소들을 조금이라도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모든 원소를 우리가 먹는 음식과 관계 지어 이야기를 풀어간다.‘ 먹고사는 일에 닿아 있는 금속 열전’이라는 부제에서 짐작할 수 있듯, 이번에 다룬 원소 가운데는 금속이 많다. 금속이라고 하면 언뜻 날카롭고 딱딱한 쇠붙이가 떠오르는데, 그런 금속이 우리가 먹는 음식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 철분을 많이 먹으라고 하는 의사를 볼 수 있고, 아연이 든 영양제가 시중에 팔리는 것처럼, 알고 보면 어떤 금속 원소들은 정말로 음식의 중요한 성분이다. 그래서 저자는 그것을 왜 먹는지, 먹으면 몸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긴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나 장비에 꼭 필요한 원소들도 있고, 가끔은 특정 원소 때문에 어떤 음식이 피해를 보는 일도 있었던 만큼 그런 이야기들도 모아 담았다. 공학박사이자 소설가인 저자는 과학 지식뿐

아니라 역사, 시사, 경제, 대중문화까지 종횡무진 누비며 원소 이야기를 맛깔나게 풀어 놓는다.


저자 소개

곽재식 : 작가이자 숭실사이버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교수. 카이스트에서 원자력 및 양자 공학 학사 학위와 화학 석사 학위를, 연세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단편소설<토끼의 아리아>가 MBC <베스트극장>에서 영상화된 이후《지상 최대의 내기》,《신라 공주 해적전》,《가장 무서운 이야기 사건》,《빵 좋아하는 악당들의 행성》등 다수의 소설을 썼다. 인문과학 교양서로《휴가 갈 땐, 주기율표》,《곽재식의 세균 박람회》,《지구는 괜찮아, 우리가 문제지》,《 곽재식의 유령 잡는 화학자》,《그래서 우리는 달에 간다》,《곽재식의 속절없이 빠져드는 화학전쟁사》,《미래 법정》외 여러 권, 글 쓰는 이들을 위한 책《항상 앞부분만 쓰다가 그만두는 당신을 위한 어떻게든 글쓰기》, 한국 전통 괴물을 소개하는 책《한국 괴물 백과》등 분야를 넘나들며 다양한 책을 썼다. TV와 라디오, 유튜브 등 여러 매체에서 과학 지식으로 사회 현상을 해석하는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다.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