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한만정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한만정 교수님은 경남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 산골에서 1935년에 출생하셨습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1960년에 졸업하고, 럭키화학공업사에서 근무하다가 서독으로 유학을 떠나 마인츠 대학(Johannes Gutenberg-Universiẗat Mainz) 대학에 입학하여 유기화학 전공으로 디플롬(Diplom)을 거쳐 고분자화학을 전공으로

(지도교수:W. Kern) 자연과학 박사학위를 1970년에 받으셨습니다. 동 대학에서 학생 지도 조교로 근무하다가 미국 Michigan 대학에 박사후연구원으로 도미하여(지도교수:C. G. Overberger) 2년간 연구 후에 국방과학연구소에 유치과학자로 1973년에 귀국하여 근무한 후, ㈜송원산업기술 중역으로 2년간 수입 물품 국산화를 위하여 일하신 후에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교수로 1978년에 취임하셨습니다.

당시 연구 환경은 열악하여 동 대학 연구실에는 뷰렛 몇 개와 적외선 분광분석기 한대 정도 있을 뿐이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연구실을 꾸며가며 연구에 열중하셨습니다. 옛날 독일 교수들의 교육 방식과 학문에 대한 열정적인 태도를 규범으로 삼았으며, 제자들에게는 유기 및 고분자 합성을 지도하여 제자들이 창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셨습니다. 대학 내의 보직은 교무처장 1학기를 한 후에 더 이상 보직은 맡지 않았으며 부총장 제의까지 있었으나 사양하셨습니다. 또한 한국화학연구소장, LG화학 중앙연구소장, 방재연구소장 등으로 초빙을 받았으나 모두 사양하고 연구실을 지키셨습니다. 그러나 학회 활동은 열심히 하셨으며, 대한화학회 고분자 분과위원회를 설치하여 위

원장을 지내셨으며, 한국고분자학회장을 역임하여 학회의 발전을 이끄셨습니다. 교수님의 연구는 독창적이셨고 모방 연구는 지양하셨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와 개발을 수행하여 고분자화학의 학문과 공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셨습니다.


단계 공중합 반응속도론의 확립(1979년) : 고분자 중합반응은 연쇄중합과 단계중합으로 나뉜다. 중합반응들은 패턴이 같으므로 반응속도론이 확립되면 모든 중합반응에 적용할 수 있다. 연쇄 공중합 반응속도론은 1944년 에 Mayo에 의하여 확립되었으나 단계 공중합 반응속도론은 확립되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일 반응속도 항수, 교차반응 속도항수, 반응성비, 공비 조성비 및 조성 diagram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수식들을 이론적으로 유도하고, 합성한 모노머 4쌍을 단계 공중합반응을 시키면서 측정한 데이터를 대입하여 유도한 식들이 성립함을 증명하였다. 이로써 단계 공중합의 반응속도론이 확립되어 고분자의 양대 반응속도론이 완성되었으며, 이 연구결과는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Comprehensive Polymer Science에 5페이지에 걸쳐 자세히 인용되었다.


Carbohydrate nuclease의 합성(1997년) : Ribose 고리를 가진 고분자들을 합성하였고 이들 중에 nuclease

작용을 하는 고분자를 발견하였다. 고분자의 구조를 변경시켜 가면서 효소 효과를 측정하여 유효 작용기를 밝혀내고 모형 반응을 이용하여 효소반응의 작동 기구를 규명하고 속도 항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이전까지 알려진 RNA와 protein nuclease 이외에 carbohydrate nuclease를 합성한 것이다. Chemical & Engineering News에서 본 연구에 대한 세계 석학 3명의 comment를 받아 1페이지에 걸쳐 그 특이함과 중요성에 대하여논평하였다.


핵산 유사체의 합성과 그 거동 및 반응에 관한 연구(1990년) : 새로운 중합반응 기구인 환형성 교환 공중합 반응 기구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산기가 C-C 결합으로 대체된 핵산 유사체들을 합성하였다. 이들을 이용하여 염기 중첩 시 그 정도와 방향에 따른 UV 흡광도의 변화, 온도 변화에 따른 염기 짝짓기 정도와 Tm, 천연 핵산과 헬릭스 구조의 형성, 용매 및 온도 변화에 따른 광학적 성질의 변화 등을 측정하였고 돌연변이의 원인이 되는 탈 염기의 반응 등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폴리에스터(PE)와 폴리우레탄(PU)의 국산화(1975년)와 기술 수출 : 산업체 재직시 전량 수입되고 있던 합성 피혁용 PE와 PU의 국산화를 시도하였다. 폴리에스터 중합반응의 새로운 촉매(반응시간 1/7로 단축)를 발견하고 이를 사용하여 PE 6종을 합성하였다. PE와 우레탄 블록의 비율을 조정하여 1액 형, 2액 형, 표피 및 내피 또는 표면 처리용 등에 적합한 합성피혁용 PU 용액의 제조 조건을 확립하였다. 연간 PE 2,500톤, PU 용액 5,000톤을 개발한 기술로 생산하여 합성피혁제조업체에 공급하였고, 이 국산화된 기술을 동남아시아에 수출하였다.


표적 고분자 항암제의 설계와 합성(1978년) : 항암효과가 있는 고분자 사슬에 저분자 항암제와 유도제를 에스테르 결합으로 연결해 항암제를 합성하고 이를 암 환자에게 주입하여 암 조직까지 유도된 후 구성성분으로 분해되어 표적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암효과가 큰 고분자 사슬 PAMA 선택하여 항암제(5FU)와 유도제로서 chlorophyl 유도체(잠분에서 추출, 암 조직에 대량 축적됨)를 결합했다. 종양이 형성된 마우스에 이 항암제를 주입하여 암 조직에 축적되는 것을 형광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끝으로 한만정 교수님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과학상과 이태규 학술상을 수상하셨으며, 현재 대한화학회 내에

한만정 학술상을 제정하여 시상하고 계십니다.


제자 최 근 배 ㈜헵스켐 대표이사

Comenta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