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

박지훈 | 부산과학고등학교 화학교사, parkji6980@nate.com



서 론


2022년 KEDI에서 실시한 교육여론조사 중 ‘학교 교육 내실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0.6%가 학습자의 기초학력 보장으로 응답하였으며 뒤를 이어 19.5%가 학벌주의 사회 체제 개선, 15.6%가 교원 전문성 제고를 꼽았다. 수업 방식의 다양화에 대한 응답은 9.3%로 나타났는데[참고문헌 1] 이는 다른 항목과는 달리 교원의 수업 전문성과 직접 연결되는 항목으로 실제로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응답은 24.9%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학교 교육 내실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과제’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이라고도 해석될 수 있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여러 가지 활동 중 실질적인 멘티 교사의 수업 맥락에서 멘토 교사가 멘티 교사에게 수업 피드백을 바탕으로 멘티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의 기회를 제공해주는 멘토링 프로그램[참고문헌 2-7]은 교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써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견해에 상당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다.[참고문헌 8-10] 우리나라에서도 초임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2005년도를 전후로 하여 일부 시도교육청에서 경력 교사와 초임 교사를 매칭하여 멘토링(mentoring)을 실시하고 있지만,[참고문헌 4] 대부분이 단위 교육청 주도의 사업으로 이루어져, 멘토링의 효과를 담당 장학사가 선발하는 경력 교사의 전문성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또한, 품질 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효과성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예산 편성 여부에 따라 일회성 사업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부산시교육청은 부산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와 업무 협약(MOU)를 통해 2013년부터 현재까지 11년째 초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이글에서는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멘토링과 무엇이 다른지, 어떻게 11년 동안 프로그램을 지속할 수 있었는지 등을 이 글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1.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



본 론

1.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부산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의 업무 협약(MOU)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 부산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의 MOU를 통해서 ‘연수’의 형태로 진행된다. 교육청은 매년 멘토링 연수 예산을 지원하고, 멘티 교사를 모집하며, 참여하는 멘토 및 멘티 교사에게 60 시간의 연수 시간을 인정해준다. 부산대학교 과학교수학습 센터는 훈련된 멘토 교사를 제공하고,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과학교수학습센터 내 멘토링 운영팀은 총 6명으로 과학교수학습센터장(과학교육학 교수)을 중심으로 과학교육 박사 출신 교장인 과학교육전문가 1명, 과학교육 박사 출신 멘토 교사 2명, 과학교육 석사 출신 멘토 교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멘토링 연수는 매년 4월~12 월까지 약 10개월간 진행되며 2013년 28명을 시작으로 2022년 44명까지 총 308명이 멘토링 연수를 이수하였다.

2.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구성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장기간에 걸쳐 실제 수업의 맥락에서 멘토 교사와 멘티 교사가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을 통하여 멘티 교사에게 반성적 사고와 실천을 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참고문헌 11] ‘의사소통기술(Communication Skill)’, ‘교과교육지식(PCK)’,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을 개념 요소로 하는, ‘일대일 멘토링’, ‘멘토 협의회’, ‘멘티 협의회’, ‘워크숍 및 세미나’의 4가지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2.1. 일대일 멘토링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활동으로 멘토 교사가 멘티 교사의 수업을 분석 후 일대일 멘토링을 통하여 수업 피드백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일대일 멘토링 대화를 통하여 멘티 교사는 자신의 수업에 대하여 반성의 기회를 가지며,[참고문헌 12] 멘토 교사로부터 수업 피드백을 받는다. 멘티 교사는 자신의 수업을 촬영한 뒤 멘티 저널과 수업 지도안, 자기 평가지를 시스템에 업로드하며 이를 활용하여 멘토 교사는 멘티 교사의 수업 분석을 한 뒤 일대일 멘토링을 실시한다. 일대일 멘토링이 시작되기 전 멘토 교사는 멘토 협의회 및 세미나에서 일대일 멘토링과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멘토 교사 지원 프로그램 항목에 자세히 기술되어있다.

2.2. 협의회

선행 연구에서 멘토 협의회는 어려웠던 감정의 교류를 통하여 멘토 교사의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었으며, 효과적인 멘토링 방법에 대한 공유 등으로 멘토 교사의 적응과 전문성 신장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참고문헌 13,14] 이에 따라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는 멘토 협의회를 강화하고 내용을 구체화하여 멘토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멘토 교사 지원 프로그램 항목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멘토 교사와 마찬가지로 멘티 교사들은 자신이 겪고 있는 문제점을 함께 공유하고 그들로부터 지지와 공감을 받을 때 초임 교사로서 느끼는 부담감이나 좌절감을 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참고문헌 15] 이에 따라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티 협의회는 초임 교사 간의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운영하였다. 실제로 멘토/멘티 협의회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세부 활동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림2. 협력적 멘토링 사후 만족도 조사


표 1. 2022년 협력적 멘토링 Workshop 주제



그림 3. (a) 과학의 본성 Workshop 모습 (b) 과학관활용수업(국립부산과학관견학) Workshop 모습



2.3 세미나와 워크숍


세미나와 워크숍에서는 과학교육 전문가들이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멘티 교사와 멘토 교사에게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 제공하는 활동으로 과학교수학습 이론,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의 적용등을필수 구성요소로 하여 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멘토링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서 멘토 교사는 멘티 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촉진하는 멘토링을 할 때 멘토링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참고문헌 16] 따라서 협력적 멘토링에서는 세미나와 워크숍을 1개주제당 2차시로 구성하여 2차시에는 멘토 교사와 멘티 교사가 1차시에 배운 내용을 활용하여 멘티 교사의 수업자료를 공동으로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멘토교사의 멘토링을 지원함과 함께 멘티 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촉진 하고자 하였다.

2.4 자기 평가

협력적 멘토링에서 멘티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으로 멘티 교사의 수업 녹화, 멘티 저널 작성, 자기 평가지 작성 등의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초임 교사에게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의 기회와 이를 내면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 중요하다.[참고문헌 17] 또한,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반성적 사고의 경험을 통하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실천 능력을 기를 수 있다.[참고문헌 18]


그림 4.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의 방향성



3. 멘토 교사 지원 프로그램 멘티 교사의 반성적 실천은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며, 멘토 교사는 이러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멘토링을 진행해야 한다.[참고문헌 16] 그러나 멘토 교사로서의 전문성은 교사로서의 전문성과는 구별되므로,[참고문헌 19,20] 경력 교사들을 멘토 교사로 선발하여 이들의 전문성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존 멘토링은 그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해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 교사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3.1. 정량화된 수업 분석 자료 제공

멘티 교사는 멘토 교사와의 멘토링을 위해 자신의 수업 영상을 총 5차례 시스템에 업로드한다. 멘티 교사의 수업 영상은 1차적으로 멘토 교사의 일대일 멘토링을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함께 멘토링 운영팀은 별도로 모든 멘티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여 RTOP 분석을 실시한다. RTOP(The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ACEPT)은 ACEPT(The Arizona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s)의 EFG(The Evaluation Facilitation Group)에서 개발한 구성주의 이론에 바탕을 둔 수업 관찰 도구로[참고문헌 21] 이를 통하여 멘티 교사의 구성주의적 수업 변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RTOP은 수업의 5가지 영역의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연관 있는 영역으로 구분하여 그룹 1에서 그룹 7까지 재분류하여 점수를 도출한다. 그룹 1은 학생의 다양한 탐구활동을 강화하는 측면, 그룹 2는 기본적, 통합적 개념이해를 고려하는 측면, 그룹 3은 학생의 선지식과 사고, 논의 등 학생에 의한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측면, 그룹 4는 사회적 합의에 의한 지식구성이 가능한 학습공동체를 구현하는 측면, 그룹 5는 학생 중 심의 교실 담화 재구성 측면, 그룹 6은 수업내용에 대한 교사의 명확한 이해 측면, 그룹 7은 교사의 인내심 측면을 나타낸다. 멘토링 운영팀은 분석된 RTOP 데이터를 멘토 교사에게 제공하여 멘토 교사가 효과적으로 일대일 멘토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와 함께 멘티 교사의 RTOP변화가 없거나 부정적일 때 멘토링 운영팀에서 해당 멘토링 팀의 활동을 점검하고 멘토 교사 및 멘티 교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상적인 멘토링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된다.



그림 5. (a) 멘티 교사 RTOP 총점분석 (b) 멘티교사 RTOP Group 별 분석



3.2. 멘토 협의회


멘토링 프로그램의 소개에서 언급하였다시피, 멘토 협의회에서 멘토 교사들은 서로의 감정의 교류를 통하여 멘토 교사의 불안감을 해소하며, 효과적인 멘토링 방법에 대한 공유 등을 통하여 멘토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워나간다. 1차시에는 경력 멘토들의 멘토링 경험을 논의하고, 특히 신규 멘토들이 어려워하는 멘티 교사와의 래포 형성에 방법에 대하여 의견을 공유한다. 2차시에는 멘티의 수업을 어떠한 관점에서 분석해야 하는지, 무엇을 분석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며, 멘티교사의 sample 수업 동영상을 함께 시청한 뒤 수업분석 실습을 진행한다. 3차시는 멘토링이 1회 진행된 후에 실시되며 이때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어려웠던점 등에관하여 이야기하고 해결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시간을 가진다. 또한, 멘토교사가 요청하면 자신의 멘티 수업영상을 모든 멘토가 함께 시청한뒤 분석 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표2]와 같다.























표 2. 멘토 협의회 내용


그림 6. (a) 멘토 협의회 모습 (b) 샘플 수업 분석 모습




3.3. 초임 멘토 교사를 위한 멘토링 속 멘토링


초임 멘토 교사들의 경우 멘토링 초반 멘토로서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겪은 낮은 자신감을 나타내고, 멘티 교사 와의 정서적 유대 관계 형성을 어려워하는 등 일대일 멘토링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참고문헌 22] 따라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는 이러한 초임 멘토교사들을 위한 멘토링 속 멘토링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멘토링 운영팀 교사는 초임 멘토 교사의 멘토가 되어 멘토링 진행 과정에서의 어려운 점, 멘티와의관계 설정 등 멘토링 전반에 걸친 어려움을 함께 논의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론


여러 선행 연구를 볼 때 초임 멘토 교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초임 멘토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참고문헌 11,13,22,23] 초임 멘토 교사들은 멘티 교사와의 관계 설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참고문헌 14,23] 멘토 교사로서의 전문성 부재로 좌절감을 느꼈고,[참고문헌 13] 이는 곧 멘토링 질 저하로 이어졌다.[참고문헌 22] 멘토 교사로서의 전문성은 교사로서의 전문성과는 구별되므로 좋은 교사가 좋은 멘토 교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참고문헌 19,20] 따라서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해서는 멘토 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멘토 교사를 지원 할 수 있는 지원 체제가 잘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링의 모든 짐을 멘토 교사에게 지우고 멘토 교사가 혼자 이끌어가게 하는 것이 아니라 멘토링 프로그램에 멘토 교사를 참여시켜 멘토 교사 역시도 프로그램의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고 발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특정 개인의 능력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전 구성원들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이끌어 가면서 발전을 이루어나간다. 또한, 연구를 기반으로 매년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여 프로그램 자체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이러한 협력적 멘토링의 특징들이 11년이라는 기간동안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운영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권순형, 도재우, 민윤경, 양희준, 이강주, 이쌍철, 이정우, 이희연. 교육여론조사 (보고서 번호: RR 2022-15); 한국교육개발원: 충북, 2022; pp 123-124.

2. Bradbury, L. U. “Educative mentoring: Promoting reform-based science teaching through mentoring relationships.” Science Education. 2010, 94(6), 1049−1071.

3. Go, M., & Nam, J.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3, 33(1), 94−113.

4. Go, M., Lee, S., Choi, J., & Nam, J.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9, 29(5), 564−579.

5. Kwak, Y. “Research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through a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10, 31(4), 403−417.

6. Kwak, Y.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1, 31(1), 1−13.

7. Park, H., Seong, S., & Jeong, D. “The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2011, 31(8), 1055−1076.

8. Guskey, T. R. “Results-orien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earch of an optimal mix of effective practice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1994, 15(4), 42−50.

9. O’Conner, C. L., Ertmer, P. A. Today’s Coaches Prepare Tomorrow’s Mentor: Sustaining the Resul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82 676, 2003.

10. U.S. Department of Education.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Recognized for Outstan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U.S. Department of Education Press Release, September 18, 2000. Retrieved February 21, 2003, from http://www.ed.gov/PressReleases/09-2000/0918.html.

11. Nam, J., Ko, M., Lee, S., Ko, M.,& Sung, H.“Development of Mentoring Pro- 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10), 1613−1626.

12. Abell, S. K., Dillon, D. R., Hopkins, C. J., McInerney, W. D., & O'Brien, D. G.

“Somebody to count on”: Mentor/intern relationships in a beginning teacher internship progra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95, 11(2), 173−188.

13. Bullough Jr, R. V. “Being and becoming a mentor: School-based teacher educators and teacher educator identity.” Teachingand teacher education. 2005, 21(2), 143−155.

14. Aspfors, J., & Fransson, G. “Research on mentor education for mentors of newly qualified teacher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15, 48, 75−86.

15. Friedrichsen, P., Chval, K. B., & Teuscher, D. “Strategies and sources of support for beginning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2007, 107(5), 169−181.

16. Lee, S., Go, M., Nam J., Lee, S. “Investigation of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action in Mentoring Convers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6, 36(6), 877−893.

17. Carr, W., Kemmis, S. Becoming Critical: Education, Knowledge, and Action Research; FalmerPress: London, 1986.

18. Lord, P., Atkinson, M., & Mitchell, H. Mentoring and coaching for professionals: A study of the research evidence. Variations, 2008, 1(4).

19. Johnson, S. M. Finders and Keepers: Helping New Teachers Survive and Thrive in Our Schools; Jossey-Bass: San Francisco, 2004.

20. Smith, T. M., & Ingersoll, R. M. “What are the effects of induction and mentoring on beginning teacher turnover?”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004, 41(3), 681−714.

21. Piburn, M., Sawada, D.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RTOP) Training Guide; ACEPT Technical Report No. IN00-3; Arizona Collaborative for Excellence in the Preparation of Teachers: Tempe, AZ, 2001.

22. Choi, S., Kwon, J., & Nam, J. “An Analysis on Mentor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4, 58(6), 638−648.

23. Jung, M., Lee, S., & Nam, J.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3, 57(6), 778−788.




박지훈 ParkJihun


•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석사(2012.3-2015.2, 지도교수 : 남정희)

• 부산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화학교육학전공, 박사(2015.3-2018.8, 지도교수 : 남정희)

•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사(2011.3-현재)

• 현재 부산과학고등학교 근무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