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진(金星珒) 이화여자대학교 교수(1958~)
독립적인 연구자로 또 직장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든든한 지원군이 있다는 것은 큰 행운입니다. 그 여정의
시작인 대학원 과정을 때로는 칭찬과 격려로, 가끔은 따
끔한 가르침으로 이끌어 주신 든든한 나의 스승님. 작년
이맘때 퇴직하신 김성진 교수님을 이렇게 기억하는 제자
들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퇴임식에서 오랜 시간 김성
진 교수님과 함께한 동료 교수님은 굳은 일도 마다하지
않고 본인의 이익보다는 모두의 유익을 위해 노력한 교
수님의 강인한 지도자적 모습을 잔 다르크이자 마가렛
대처와 같았다고 회상하셨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나노화학 분야의 개척자로, 2003년
이화여대 나노과학부와 2004년 나노바이오연구소 설립
을 주도하여, 융합 분야 교육 행정의 기틀을 마련하고 연
구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앞장서셨습니다. 2006년에는
BK21 나노과학부 사업단을 조직하여 국내 최우수 나노화학 인재 양성 기관으로 성장시키셨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나노소재화학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구자로, 30여년간 물질의 구조와 기능성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시며, 화학 분야뿐 아니라 물리학, 기계공학, 전자공학 등 다양한 분야 연구자들과의 활발한 융합 연구를 통해 산업계 파급효과가 큰 우수한 연구 결과들을 도출하셨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의 대표적 연구분야로 나노입자 기반 센서, 열전소재, 금속 클러스터를 들 수 있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다양한 나노입자 합성 방법을 활용하여 센서소재, 촉매 소재를 연구하셨습니다. 특히 SnO2 나노선에
촉매 역할을 하는 Pd/Sn 합금 나노입자를 증착시켜, 상온에서 매우 높은 수소 검출 효율을 보이는 혼성소재를
개발하였습니다(Nano Lett. 2013, 13, 5938–5943). 종래의 수소 감지 소자의 경우 높은 온도로 소자를 가열해
야 반복 작동이 가능하였으나, 본 연구는 수소연료를 광범위하게 활용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초미량 수소 검출을
상온에서 가능하게 하므로 산업적으로도 매우 의미 있는결과입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1990년대 후반부터 온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반대로 전기에너지를 냉
각 효과로 전환할 수 있는 열전소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시며 학계의 주목을 받는 우수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
셨습니다. 열전소재는 글로벌 탄소제로 정책의 확산으로 청정에너지 분야에 파급효과가 매우 큰 연구주제로, 특
히 조선, 자동차의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거나 전기차 배터리를 냉각하는데 열전소재를 응용하는 기술
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2019년 김성진 교수님은 SnTe 나노그레인 표면을 CdTe로 코팅하는 방법으로 열
전도도를 획기적으로 낮춰 열전 성능지수를 기존의 1.0 부근에서 1.9 정도로 높였습니다(ACS Nano, 2019, 13,
8347–8355). 본 소재의 획기적인 성능 개선이 그레인과 코팅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포논 산란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론적인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열전모듈을 고안하면 열전 성능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어
학계의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기초연구인 금속 클러스터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지닌 연구결과를 발표해 오셨습니다 (Angew. Chem. Int. Ed. 2005, 44, 6867-6871). 금속 클러스터 분야를 개척한 러시아 국립연구원 원장과
연구팀원들이 행한 SCI 논문 통계조사는 양적 질적 면에서 세계 최고의 연구를 수행하는 본 분야 상위 3개 연구
실 중 하나로 김성진 교수님 연구실을 손꼽았습니다. 본 러시아팀과의 활발한 공동연구를 통해 금속클러스터를
광열 치료(PDT), 태양광 소자, 광촉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한 우수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셨으며, 세계적으로 독
보적인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2007년 러시아 국립연구원 Institute of Inorganic Chemistry of the Siberian
Branch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셨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은 이러한 우수한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2015년 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되었으며, 2013년 대한
화학회 학술상, 2016년 미래부장관표창, 2020년에는 대한민국 과학인의 최고영예인 과학유공자 1등급 과학기술
훈장 창조장을 수훈하셨습니다. 또한 국가의 과학 분야진흥과 정책 및 교육 혁신을 위해 대내외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셨습니다. 대한화학회 화학세계 편집 위원장(2008-2009), 이화여대 자연대학 학장(2010-2014), 2010년 한국화학관련학회연합회 편집이사, 2010년 재료분과회장, 2011년 대한화학회 여성위원회 위원장,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2014-2017), 2016년 나노기술연구협의회 부회장, 2020년 한림원 학술부원장 등으로 활동하며 융합과학 분야와 더불어 화학회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과학 기술 저변 확대와 과학기술 진흥을 위해노력하셨습니다.
김성진 교수님의 선생님이자 동료, 연구자, 그리고 과학과 교육 정책 혁신을 위한 리더로서의 헌신이 우리나라가 나노소재화학의 개척부터 현재 세계적 수준의 위상을 갖게 되는 데까지 큰 기여를 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글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교수 박소정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연구교수 박지은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