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화학교육/화학컬럼
화학교육


코딩과 생성형 AI로 재구성하는 화학 수업의 미래(2025년 8월호)
진근영 |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초빙조교수, hiyalu@unist.ac.kr 서 론 최근 교육계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활용[참고문헌 1]의 물결 속에서 교과 간 융합과 기술 활용 역량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International Mendeleev Chemistry Olympiad참관기
정현서 | 민족사관고등학교 3학년 어느덧 무더운 7월이 되었다. 방학을 맞아 학교에 있는 거의 모두가 전국으로 흩어진 상황이다. 나 또한 사람들이 북적이는 학교 생활에서 벗어나 지금은 지방에 내려가 잠시나마 조용한 삶을 살고 있다. 이 글을 쓰는...


화학세계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호소문(2025년 7월호)
한규일 | 경기과학고등학교 화학교사, hank1013@gs.hs.kr 안녕하세요? 경기과학고등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 한규일입니다. 학교로 꾸준히 배송되는 화학세계를 받으면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 학술적 인 연구 성과...


네팔 교육봉사활동과 과학교육
한재영 | 충북대학교 화학교육과, jyhannn@cbnu.ac.kr 작년 여름 대학생을 인솔하여 네팔로 교육봉사활동을 다녀왔다. 코로나 이후 개인이나 기업, 지자체나 정부에서 지원하는 해외 봉사활동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보통 남을 도울 때...


발명교육은 필요한 것인가?(2025년 6월호)
윤혜영 | 용인삼계고등학교, 화학교사 sweetyoung23@naver.com 서 론 과학을 가르치는 교사에게 과학전람회, 발명품경진대회, 과학토론대회, 과학동아리발표대회 등 매년 숙명처럼 다가온 일들이었다. 고3 담임할 때를...


원자 스펙트럼 계열(Atomic spectral series) 연구의역사에 대한 에세이 : s, p, d, f 명칭의 기원과 의미 (2025년 5월호)
한상준 | 한국과학영재학교, 화학교사 sangjoon.hahn@gmail.com 서 론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수소와 알칼리 금속 원자의 방출 스펙트럼은 원자 내부 구조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특히 수소와...


탐구의 여정:학생들에게 과학의 진정한 의미를 가르치다 (2025년 4월호)
권동혁 | 진해냉천중학교 과학교사, kdhspy007@hanmail.net 초임 시절, 과학교사라면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당연히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도를 통해 얻은 가시적인 성과가 대입이나 과학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화학자가 되는 길 (2025년 3월호)
백성혜 |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교수, shpaik@knue.ac.kr 1. 화학자의 역할에 대한 변화 2024년 노벨화학상은 화학자가 아닌 AI 개발자가 받았다. 데이비드 베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단백질 설계 분야의 선구자...


상평형 그림에 산업의 활용을 더하여 (2025년 2월호)
천만석 | 한국과학영재학교 화학생물학부 화학교사, manstone@ksa.kaist.ac.kr 서 론 고등학교 화학II에서 ‘평형을 이해하고, 상평형 그림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가지고 상평형을...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