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화학교육/화학컬럼
화학교육


화학자가 되는 길
백성혜 |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교수, shpaik@knue.ac.kr 1. 화학자의 역할에 대한 변화 2024년 노벨화학상은 화학자가 아닌 AI 개발자가 받았다. 데이비드 베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단백질 설계 분야의 선구자...


원자는 실재하는가
원자라는 개념은 돌턴 이후로 화학에서 핵심적인 역할 을 수행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단언컨대 원 자 개념의 유용성을의심하는 화학자는 없었습니다. 하지 만 원자가“실재”하는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화학자들마다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원자...


상평형 그림에 산업의 활용을 더하여
천만석 | 한국과학영재학교 화학생물학부 화학교사, manstone@ksa.kaist.ac.kr 서 론 고등학교 화학II에서 ‘평형을 이해하고, 상평형 그림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가지고 상평형을...


연소의 조건 중 산소가 필요함을 아는 수업 이야기
하영분 | 분포초등학교 수석교사, e200105711@naver.com 서론 필자는 현재는 초등학교 수석교사로 과학만 가르치고 있다. 생물에 더 자신이 있지만 화학 부분 내용을 수업 공개 등 여러 활동에서 더 많이 연구하였다....


대한화학회지를 통해 살펴본화학교육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서 론 화학은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을 견인하는 자연과학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물질의 구조와 성질,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인류의 삶을 혁신해오고 있다. 기후 위기, 환경오염, 빈곤 및 자원 고갈과 같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기후 위기 시대, 화학 교사로 환경을 교육하다
서론 2021년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환경교육법)’이 국회에서 처음으로 제정되었다. 당시 학교 에서의 환경 교육 의무화 조항은 부칙에 의해 2년의 유예를 두었고, 드디어 2023학년도 3월부터 전국의 모든 초·...


새로운 측정 방법에 대하여
탁주환 | 부산과학고등학교 교사, chemtak@naver.com 서론 1. 레시피 그대로 따라 하는 요리 같은 화학 실험 개인적으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재현하기식 실험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0.1 M 염산(hydrochloric ...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 디지털을 활용한 공유대학
서지연 |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j-y.seo@pusan.ac.kr 서론 새로운 대학교육 패러다임이 시작되었다. ‘디지털 혁신 공유대학’사업은「한국판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국가수준의 신기술분야 핵심 실무 인재 10만 명 양성을 목표...


미국화학회(ACS)의 화학교육 활동
박현주 | 조선대학교 화학교육과, hjapark@chosun.ac.kr 서론 현대 사회의 급격한 과학기술 변화와 그에 따른 VUCA (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의 특징으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