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화학교육/화학컬럼


유해성은 화학의 원죄일까? (2025년 5월호)
서방기독교에는 원죄(原罪, Original sin)라는 개념이 존 재한다. 태초의 인간이 창조주와의 약속을 어기며 범하게 된 죄로 낙원에서 쫓겨나며 자손에게 이어지는 모든 죄의 시작이자 낙인과 같은 형태를 이야기한다. 물론 창조와...


탐구의 여정:학생들에게 과학의 진정한 의미를 가르치다 (2025년 4월호)
권동혁 | 진해냉천중학교 과학교사, kdhspy007@hanmail.net 초임 시절, 과학교사라면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당연히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지도를 통해 얻은 가시적인 성과가 대입이나 과학교사로서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된다고...


결정, 빛, 생명, 그리고 탄소 (2025년 4월호)
원자와 분자의 개념을 명료화하고자 한 칼스루헤 회의 (1860년) 이후의 화학은 몇 가지 흐름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원소의 주기율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면서 원소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게 되었고, 최초의 주기 율표가...


화학자가 되는 길 (2025년 3월호)
백성혜 |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교수, shpaik@knue.ac.kr 1. 화학자의 역할에 대한 변화 2024년 노벨화학상은 화학자가 아닌 AI 개발자가 받았다. 데이비드 베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단백질 설계 분야의 선구자...


우주 탐사의 명암 (2025년 3월호)
인간은 미지를 갈망한다.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를 망망한 대해를 향해 떠나는 용기도 막연한 기대와 상상에 의존한 끝에 세상의 끝을 확장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깊은 땅속 지구의 내부나 강철도 압착되는 깊은 심해에는...


원자는 실재하는가 (2025년 2월호)
원자라는 개념은 돌턴 이후로 화학에서 핵심적인 역할 을 수행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단언컨대 원 자 개념의 유용성을의심하는 화학자는 없었습니다. 하지 만 원자가“실재”하는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화학자들마다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원자...


상평형 그림에 산업의 활용을 더하여 (2025년 2월호)
천만석 | 한국과학영재학교 화학생물학부 화학교사, manstone@ksa.kaist.ac.kr 서 론 고등학교 화학II에서 ‘평형을 이해하고, 상평형 그림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가지고 상평형을...


시작과 끝에 대한 이야기 (2025년 1월호)
본 적 없는 시작과 끝을 갈망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인 듯싶다. 되돌아갈 수 없는 장대한 시간 속에서 인간과 생명의 시작, 그리고 우주의 탄생 순간을 끝없이 밝혀내려 노력하며, 허락된 시간 바깥 너머에 있을 우주의 마지막 순간을 상상하고 예측하며...


연소의 조건 중 산소가 필요함을 아는 수업 이야기(2025년 1월호)
하영분 | 분포초등학교 수석교사, e200105711@naver.com 서론 필자는 현재는 초등학교 수석교사로 과학만 가르치고 있다. 생물에 더 자신이 있지만 화학 부분 내용을 수업 공개 등 여러 활동에서 더 많이 연구하였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