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화학교육/화학컬럼


암모니아 합성 교육으로 배우는 탄소중립 사고(2025년 10월호)
김주영 |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chris@gnu.ac.kr 서 론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이 전 지구적 과제가 된 오늘날, 화학교육 현장에서도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화학교육이 주로 반응 메커니즘과...


생명의 화학(2025년 10월호)
지금까지 우리는 주류 화학의 역사를 살펴보았습니다. 19세기 후반에는 구조 이론의 발전과 더불어 유기화학이 압도적인 인기를 끌었고, 19세기가 끝나갈 무렵 물리화 학이 화학 내에서 자신만의 영역을 정의해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환각 없는 환각제는 약이 된다(2025년 9월호)
우리 몸에는 침묵의 장기라 불리는 것들이 있다. 종양 을 비롯해 손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채기 어렵고 증상이 확인된 상황에서는 이미 골든타임을 놓쳐버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침묵만큼이나 두려운, 화학자들에게는 친숙한 단어인 비가역적...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개선 방안(2025년 9월호)
김근유 | 배재고등학교 화학교사, gunew.kim@snu.ac.kr 1. 보고서의 목적 및 배경: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현장 적용의 한계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새로운 물리화학(2)(2025년 8월호)
지난 글부터 우리는 188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물리 화학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구조 이론은 복잡한 유기 화합물의 구조를 성공적으로 설명해냈지만, 화학 반응에 대해서는 여전히 알려주는 것이 많지 않았죠. 이 문제를 풀고자 도전했던 세 명의...


코딩과 생성형 AI로 재구성하는 화학 수업의 미래(2025년 8월호)
진근영 |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초빙조교수, hiyalu@unist.ac.kr 서 론 최근 교육계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활용[참고문헌 1]의 물결 속에서 교과 간 융합과 기술 활용 역량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International Mendeleev Chemistry Olympiad참관기
정현서 | 민족사관고등학교 3학년 어느덧 무더운 7월이 되었다. 방학을 맞아 학교에 있는 거의 모두가 전국으로 흩어진 상황이다. 나 또한 사람들이 북적이는 학교 생활에서 벗어나 지금은 지방에 내려가 잠시나마 조용한 삶을 살고 있다. 이 글을 쓰는...


독이 된 인간의 피(2025년 7월호)
모기의 계절이 돌아왔다. 기후 이변 때문이지 다른 이유일지 모르겠지만 갈수록 여름이 길어지며 모기와 공동 거주하는 기간도 늘어나는 듯 싶다. 하지만 모기 연구자를 제외하고는 모기를 좋아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 없다. 어쩌면 모기에게 자신의 피를...


화학세계 독자 여러분께 드리는 호소문(2025년 7월호)
한규일 | 경기과학고등학교 화학교사, hank1013@gs.hs.kr 안녕하세요? 경기과학고등학교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 한규일입니다. 학교로 꾸준히 배송되는 화학세계를 받으면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 학술적 인 연구 성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