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읽기쉬운 총설


초고해상도 플라즈모닉스 표면 분광법을 이용한 광촉매 연구(2025년 7월호)
김홍기, 강경원* | 강원대학교 화학과 교수, gkang@kangwon.ac.kr 서 론 플라즈모닉스 기반 나노광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통 적인 광학과 표면화학의 경계를 허물며, 나노미터 수준에서의 정밀한 빛-물질...


금속 산화물 기반광촉매 소재 개발 및 응용(2025년 6월호_
김연호 | 건국대학교 에너지신소재공학과 조교수, yeonho@kku.ac.kr 서 론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깨끗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 지원을 개발하는 것은 현재 기술적으로 매우 큰 도전 과제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방법 ...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공명과 산화환원 촉매 작용(2025년 5월호)
유성주 | 아주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sungjuyu@ajou.ac.kr 서 론 금속 나노구조체는 특정 파장의 전자기복사선을 흡수하여 표면 전자들이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플라스몬 공명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나노입자...


총설에 부쳐-고효율 광촉매 소재 개발 (2025년 5월호)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또는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바꿀수 있는 광촉매 활용 기술은 1972년 일본 과학자에 의해 처음 밝혀졌습니다. 이들은 이산화티탄 전극에 밴드갭 이상의 광에너지를 조사하면 전극 표면에서 기포가 생성됨을 관찰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헬스케어용 고성능 산화물 반도체형 호기센서 개발 동향(2025년 4월호)
윤성영, 서정후, 정성용* | 국립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조교수, syjeong@kongju.ac.kr 서론 최근 개인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 서비침습적이고 실시간으로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 는...


고에너지밀도 구현을 위한 리튬메탈전지 음극 기술 개발(2025년 3월호)
우미혜 | 전북대학교 국제이공학부 조교수, wumihye@jbnu.ac.kr 서 론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하여 자원 고갈과 탄소 배출 저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s,...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위한실리콘 음극재 개발 방향(2025년 2월호)
박인규, 채오병* | 가천대학교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배터리공학전공 교수, obchae@gachon.ac.kr 서 론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그...


하이니켈 양극재 표면의잔류 리튬 형성 및 제어 기술(2025년 1월호)
김선호, 김상범, 김영진* | 강원대학교 배터리융합공학과 조교수, ykim@kangwon.ac.kr 서 론 리튬 이온전지는 휴대용 기기의 성공적인 활용과 전기차 산업의 급성장에 힘입어,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


총설에 부쳐-고성능 이차전지 개발 (2025년 1월호)
리튬 이차 전지는 처음 상용 제품이 만들어진 1991년부터 지금까지 30여년 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있으며, 지속적인 성능의 향상이 있었습니다.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 중 핵심으로 자리 잡은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