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RESEARCH
읽기쉬운 총설


헬스케어용 고성능 산화물 반도체형 호기센서 개발 동향
윤성영, 서정후, 정성용* | 국립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조교수, syjeong@kongju.ac.kr 서론 최근 개인 건강관리와 질병 예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 서비침습적이고 실시간으로 신체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


고에너지밀도 구현을 위한 리튬메탈전지 음극 기술 개발(2025년 3월호)
우미혜 | 전북대학교 국제이공학부 조교수, wumihye@jbnu.ac.kr 서 론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하여 자원 고갈과 탄소 배출 저감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s,...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위한실리콘 음극재 개발 방향(2025년 2월호)
박인규, 채오병* | 가천대학교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배터리공학전공 교수, obchae@gachon.ac.kr 서 론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그...


하이니켈 양극재 표면의잔류 리튬 형성 및 제어 기술(2025년 1월호)
김선호, 김상범, 김영진* | 강원대학교 배터리융합공학과 조교수, ykim@kangwon.ac.kr 서 론 리튬 이온전지는 휴대용 기기의 성공적인 활용과 전기차 산업의 급성장에 힘입어, 저탄소 에너지 시스템...

총설에 부쳐-고성능 이차전지 개발 (2025년 1월호)
리튬 이차 전지는 처음 상용 제품이 만들어진 1991년부터 지금까지 30여년 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 있으며, 지속적인 성능의 향상이 있었습니다.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 중 핵심으로 자리 잡은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이중특이항체 플랫폼 기술 개발 동향
서 론 지난 30여 년 동안, 치료용 항체는 특이성(specificity)과 민감성(sensitivity)을 기반으로 다양한 질환 치료에 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1986년 최초로 Muromonab- CD3이라는...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교정의 발전과 연구동향
최영준, 김민준, 이성현* | 성균관대학교 메타바이오헬스학과/의과대학 정밀의학교실, 조교수, shlee9@skku.edu 서 론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에너지 합성, 산화 환원 균형, 칼슘 항상성 유지, 세포 신호 전달 등 세포 내 중요한 기능...


음식 속에 포함된 DNA의 역습
박철준, 전용웅*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조교수, ywjun@kaist.ac.kr 서 론 고온에서 조리된 붉은 육류나 튀김류 위주의 식습관이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는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마약 성범죄 예방을 위한 생활보호제품 개발 연구동향
김경지, 권오석* | 성균관대학교 성균나노과학기술원 부교수, oskwon79@skku.edu 서 론 데이트 강간 약물(Date rape drug; DRD)은 약물을 이용한 성범죄(Drug facilitated sexual assault;...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