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PEOPLE


한국을 빛낸 화학자36(2025년 6월호)
도영규(都暎圭) KAIST 교수(1950~ ) 도영규 교수님은 1950년 서울에서 태어나셔서 서울대 문리대 화학과를 졸업하시고(1969-1973) 2년간 KAIST 화학과에서 (故)전무식 교수님의 지도 하에 석사학위 과정을 밟으셨습니다. 이후...


한국을 빛낸 화학자35(2025년 6월호)
진정일(陳政一) 고려대학교 교수(1942~) 진정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화학과에서 학사(1964년) 및 석사(1966년) 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969년 뉴욕시립대학교에서 고분자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후,...


근접 유도 기반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팀(2025년 6월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141 한국화학연구원 E1 042) 860-7045 jyhwang@krict.re.kr https://sites.google.com/view/tpddel...


기능성 무기나노재료 연구실(2025년 6월호)
연구는 정교하게, 방향은 넓게 기능성 무기나노재료 연구실(Functional Inorganic Nano- materials for Energy Lab, FINE lab)은 2010년 울산과학기 술원(UNIST)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연구실을 처음 ...


연구는 ‘왜’에서 시작되지만,‘누구를 위해’에서 깊어집니다(2025년 6월호)
이번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 6월호에서는 YS생명과학의 대표이사이자 회장으로 재직 중인 함원훈 회장님을 모셨습니다. 성균관대학교 약학과 교수로서 오랜 시간 약학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신 함 회장님은, 2000년 동료 약학박사들과 함께 연성정밀화학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34(2025년 5월호)
이상엽(李相燁) 서울대학교 교수 (1955~) 이상엽 교수는 1955년 청주에서 출생하여 1973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학부를 졸업하였습니다. 이후 당시 물리화학 전공이던 김영식 교수와 1979년...


한국을 빛낸 화학자 33(2025년 5월호)
최병석(崔炳晳) KAIST 교수(1951~) 지난 30여 년간 국내 NMR과 구조 생화학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신 최병석 교수님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로 소개하게 되어 최 교수님의 제자로서 대단히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258,h_250,fp_0.50_0.50,lg_1,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226,h_219,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
삼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현준 교수님은 1959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마산고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셨습니다. 이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고, 스탠포드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


결과보다 과정에서의배움과 즐거움을 가지고,각자의 방식으로 깊이 있게탐구해가기를 바랍니다(2025년 5월호)
5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2025년 대한화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신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철범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이철범 교수님께서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셨고, 1998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