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5월호)
- 성완 박
- 5월 1일
- 2분 분량

김민경 Minkyung Kim
가천대학교 약학과, 조교수
■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화학과, 학사 (2005.3 - 2010.2)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박사 (2010.3 - 2017. 2, 지도교수: 송현규)
■ 영국 MRC 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 박사후연구원 (2017.9 - 2021.8, 지도교수 : Ramanujan Hegde)
■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MEDI hub), 연구원 (2022.10 - 2024.2)
■ 가천대학교 약학과, 조교수 (2024.3 - 현재)
소개글
김민경 교수는 구조생물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 및 기능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단백질 항상성 조절 기전에 대해 X-ray 결정학을 활용한 구조 분석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GPCR 막단백질 생합성에 관여하는 새로운 샤페론의 구조와 기능을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을 통해 규명하였다. 현재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구조생물학, 생화학, 인공지능 기반 예측 기법을 융합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질환 관련 단백질을 타겟으로 한 구조 기반 신약개발 연구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
• 구조생물학(Structural Biology)
• 극저온 전자현미경(Cryo-EM)
• X-선 결정학(X-ray crystallography)
• 단백질 항상성 및 품질관리(Protein homeostasis and Quality Control)
• 막단백질 생합성(Membrane protein biosynthesis)
대표논문
Kim S.; Lee W.; Kim IH.; Kim M.K.†; Choi TS.† Recent advances and future challenges in predictive modeling of metalloproteins by artificial intelligence. Mol. and Cells 2025, 48. 100191.
Smaliskaite L.*; Kim M.K.*; Lewis A.J.O.; Keenan R.J. Hegde RS. Mechanism of an intramembrane chaperone of multipass membrane proteins. Nature 2022, 611, 161.
Kim B.H.*; Kim M.K.*; Oh S.J.; Nguyen K.T.; Kim J.H.; Varshavsky A.; Hwang C.S.; Song H.K. Crystal structure of the Ate1 arginyl-tRNA-protein transferase and arginylation of N-degron substrate. Proc. Natl. Acad. Sci. USA. 2022, 119, e2209597119.
Kim M.K.; Oh S.J.; Lee B.-G.; Song H.K. Structural basis for dual specificity of yeast N-terminal amidase in the N-end rule pathway. Proc. Natl. Acad. Sci. USA 2016, 113, 12438.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