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전기화학 분자변환 연구센터(2025년 10월호)
부산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로 63번길2 606동(화학관) 116-1호 051) 510-7346 wooni99@pusan.ac.kr 전기화학 분자변환 연구센터(Center for Electro-chemical Molecular...


전산 에너지/바이오 소재 연구실(2025년 10월호)
Broad scope, Coherent core 2020년 POSTECH에서 첫걸음을 뗀 저희 연구실은 2024년 하반기에 서울대학교로 옮겨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해질, 고분자, 바이오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한국을 빛낸 화학자 44(화학세계 10월호)
김병현(金秉玹) POSTECH 교수 (1955~) 한국 핵산 화학의 선도적 연구자 김병현 교수님은 1988년부터 2020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과에 재직하며 핵산 화학(nucleic acid chemistry) 분야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 43(화학세계 10월호)
김기문(金基文) POSTECH 교수 (1954~) 예술(藝術)을 사랑한 과학(科學)자 과학자라고 하면 예술과는 거리가 멀다는 편견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김기문 교수님은 미술과 음악을 사랑하셨던 과학자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학자일...


생명에서 배우고,실험실에서 구현하고,사회에 기여한다(2025년 10월호)
2025년 10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KAIST 화학과의 이해신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이 교수님은 홍합 의 접착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얻은 생체모방 고분자 연구를 통해, 무출혈 주사바늘부터 탈모 억제 기능성 샴푸까지, 학계와 산업계를...


링커 기술로 세계를 겨눈다,ADC 플랫폼 혁신의 개척자 (2025년 9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 2025년 9월호에서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분야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주) 인투셀의 박태교 대표이사님을 만나보았습니다. 박 대표님은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MIT에서 화학 박 사 학위를...


한국을 빛낸 화학자 42(화학세계 9월호)
고종성(高鐘聲) GENOSCO 대표이사 (1957~) 고종성 대표는 1957년 강원도 횡성군에서 태어나 횡성, 원주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원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1979)를 졸업하였다. KAIST에 진학하여 KAIST 총장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 41(화학세계 9월호)
김명수(金明洙)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948~) 김명수 교수님은 1948년 10월 28일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7년 서울대학교 수석으로 문리과대학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1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경북대학교 BRL 후속연구인 ‘나노바이오 융복합형 고성능 분석 시스템 연구실(2025년 9월호)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053)950-5336 hyejinlee@knu.ac.kr https://www.hjl.knu.ac.kr 경북대학교 BRL 후속연구인 ‘나노바이오 융복합형 고성능 분석 시스템 연구실’(연구단장...


에너지전환소재연구실(2025년 9월호)
버려지는 열을 다시 쓰다:진틀 화합물 기반 열전소재 연구 에너지전환소재 연구실(Energy C nversi n Material Lab)은 2010년 가을, 충북대학교 화학과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배터리 전극 소재용 Li-rich 화합물,...


정밀화학을 향한 집념,혁신 소재 산업의 길을 열다(2025년 8월호)
2025년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 8월호에서는 ㈜한켐의 대표이사이신 이상조 대표님을 모셨습니다. ㈜한켐은 첨단 화학소재 합성 분야 CDMO 전문기업으로, OLED소재/반도체 소재/의약 소재 등 고부가가치 화학소재 개발에 특화된 기술력을...


경상 국립대학교 G-램프(LAMP)사업단(2025년 8월호)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경상국립대학교 BNIT(28동) 212호 055)772-4632 rima@gnu.ac.kr https://www.gnu.ac.kr/rima/main.do 21세기 첨단산업 시대를 맞아 신규 분자 소재...


청정 촉매 소재 연구실(2025년 8월호)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촉매 개발의 여정 Catalytic Materials for Renewable Energy (CMRE) 연구실은 2012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첫 걸음을 뗀 후, 2021년 서울대학교 화학과로 자리를 옮겨...


한국을 빛낸 화학자 40(2025년 8월호)
故 김희준(金熙濬) 서울대학교 교수(1947-2022) 별을 사랑한 화학자 선생님은 별을 참 좋아하셨습니다. 어릴 적부터 밤하늘의 별들을 보면서 ‘별들은 얼마나 멀리 있는지, 또 별들은 어떻게 떨어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는지’ 궁금해하시며,...


한국을 빛낸 화학자3(2025년 8월호)
심상철(沈相喆) 경북대학교 교수(1942~) 선생님께서는 1942년 9월 26일 경남 함안군 법수면 강주리에서 9남매 중 다섯째로 세상에 오셨다. 초등학교 5학년 때 부친을 여의시고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집안 농사일을 돕게...


한국을 빛낸 화학자38(2025년 7월호)
김광수(金光洙) UNIST 교수(1950~) 이론화학의 거장: 김광수 교수의 학문적 발자취와 과학적 공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의 김광수 교수는 지난 수십 년간 이론 및 계산화학과 나노과학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재 등 폭넓은 분야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37(2025년 7월호)
정성기(鄭盛基) POSTECH 교수(1945~) 정성기 교수님은 생유기화학 및 의약화학 분야의 선구자로, 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연구 성과와 교육, 행정 리더십을 통해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를 하신 인물이다. 1972년 미국...


기초과학의 힘을 믿고,도전과 인내를 통해내일의 가능성을함께 만들어가길 바랍니다(2025년 7월호)
7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성균관대학교 화학/에너지학과 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IBS) 2차원 양자 헤테로구조체 연구단 단장으로 계신 신현석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신 교수님은 최근 2025년 대한화학회 ‘한만정학술상’ 수상자로...
![[MOU 기관 소개] 한국과학기자협회(2025년 7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ed23bc_7b389d0746c84f728514ff66ad7dc819~mv2.jp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0,blur_30,enc_avif,quality_auto/ed23bc_7b389d0746c84f728514ff66ad7dc819~mv2.webp)
![[MOU 기관 소개] 한국과학기자협회(2025년 7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ed23bc_7b389d0746c84f728514ff66ad7dc819~mv2.jpg/v1/fill/w_454,h_341,fp_0.50_0.50,q_90,enc_avif,quality_auto/ed23bc_7b389d0746c84f728514ff66ad7dc819~mv2.webp)
[MOU 기관 소개] 한국과학기자협회(2025년 7월호)
MOU 협약 기관 소개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707호 02-501-3630 http://www.koreasja.org/kr/index.php https://www.facebook.com/koreasja.o...


국립부경대학교 G-램프사업단(2025년 7월호)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부경대학교 환경해양관 1층 113호 051-629-7724~28 a407269@pknu.ac.kr https://icms.pknu.ac.kr/seed 국립부경대학교 G-램프사업단(사업단장 환경해양대학 환경지질과학전공...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