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한국을 빛낸 화학자34(2025년 5월호)
이상엽(李相燁) 서울대학교 교수 (1955~) 이상엽 교수는 1955년 청주에서 출생하여 1973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학부를 졸업하였습니다. 이후 당시 물리화학 전공이던 김영식 교수와 1979년...


한국을 빛낸 화학자 33(2025년 5월호)
최병석(崔炳晳) KAIST 교수(1951~) 지난 30여 년간 국내 NMR과 구조 생화학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신 최병석 교수님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로 소개하게 되어 최 교수님의 제자로서 대단히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186,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226,h_303,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
삼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현준 교수님은 1959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마산고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셨습니다. 이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고, 스탠포드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


결과보다 과정에서의배움과 즐거움을 가지고,각자의 방식으로 깊이 있게탐구해가기를 바랍니다(2025년 5월호)
5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2025년 대한화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신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철범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이철범 교수님께서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를 마치셨고, 1998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화...


시스템 화학 글로벌 선도연구센터(2025년 5월호)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중앙대학교 수림과학관(104관) 417호 02) 820-5240 jaeyoung@cau.ac.kr http://www.gcsc.cau.ac.kr 생명체는...


분자 고등 검지 연구실(2025년 5월호)
우리 실험실은요? 저희 분자 고등 검지 연구실(Laboratory for Advanced Mo- lecular Probing, LAMP : 실험실 홈페이지 참조*)은 ① UNIST(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


한국을 빛낸 화학자 32 (2025년 4월호)
이윤섭(李允燮) KAIST 교수 (1950~) 이윤섭(李允燮, Yoon Sup Lee) 교수님은 195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9년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셨다가 미국으로 유학하여 1973년에 드루(Drew)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셨고,...


한국을 빛낸 화학자 31 (2025년 4월호)
서세원(徐世源) 서울대학교 교수(1951~) 구조생물학의 개척자 1982년부터 2016년까지 34년간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로 재직하신 서세원 교수님은 한국 단백질 구조생물학의 기초를 세우고, 이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신 위대한 스승이자...


환경·에너지소재연구실(2025년 4월호)
#우리 #연구실은요 환경·에너지소재연구실(Environmental & energy materials Lab., EEML)은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에너지신소재공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김연호 교수님 지도하에 현재 연구원 2명, 석사 과정 4명,...


연구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끊임없이 도전하며, 용기 있게 시도해 나가세요 (2025년 4월호)
4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는 현재 퓨쳐켐의 대표이사이신 지대윤 대표님을 만나보았습니다. 지 대표님께서는 1999년 인하대 화학과 재직 당시 퓨쳐켐을 설립하시고, 현재까지 26년간 회사를 이끌고 계십니다. 2020년 서강대 화...


KIST Grand Challenge (GC) 노화제어 연구팀(2025년 4월호)
서울 성북구 화랑로 14길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화학생명융합연구센터 02) 958-5924 sehoonkim@kist.re.kr 노화세포(senescent cell)는 단순하게 세포 분열이 계속 진행되어 노화된 aged cell 뿐 아니라,...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png/v1/fill/w_32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webp)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png/v1/fill/w_442,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webp)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
한만정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한만정 교수님은 경남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 산골에서 1935년에 출생하셨습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1960년에 졸업하고, 럭키화학공업사에서 근무하다가 서독으로 유학을 떠나 마인츠...


한국을 빛낸 화학자 30 (2025년 3월호)
김동호(金東晧)연세대학교 교수(1957~) 김동호 교수님은 1957년 11월 1일 태어나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1980년에 졸업한 후 미국 워싱턴 대학교 화학 과에서 1984년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다. 1985년까지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 29 (2025년 3월호)
故 이대운(李大云) 연세대학교 교수(1940~2022) “감사한 일은 모래 위에 쓰고 원망과 섭섭함은 돌에 새 긴다” 즉, 감사한 일은 쉽게 잊어버리고 섭섭하고 원망스 런 일은 오래 간직한다는 인간의 한 단면에 대해서 말씀 해주셨던 선생님. 그저...


초분극핵자기공명 연구실(2025년 3월호)
우리 연구실을 소개합니다 초분극핵자기공명(HNMR) 연구실은 2014년 한양대학교 응용화학과에서 시작하여 이영복 교수님 지도하에 현재 박사 후 연구원 1명, 박사과정 2명, 석박통합과정 2명, 석사과정...


화학생물학 연구단(2025년 3월호)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127번길 50,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관 407호 054)279-8236 hslim@postech.ac.kr http://cbl.postech.ac.kr/ 포항공과대학교 화학생물학 연구단(화학과 임현석 교수)은 암호화 ...


해야 할 일, 그 이상의 요구에대응하여 더욱 깊고 넓게일하는 것이 성장과 성공의중요한 요소입니다 (2025년 3월호)
3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현재 동우화인켐의 대표이사이신 이종찬 사장님을 모셨습니다. 이 사장님께서는 2024년 4월 1일 동우화인켐의 대표이사로 취임하셨으며, 이후 8월 2024 K-Display(한국디스플레이산업...


한국을 빛낸 화학자 28 (2025년 2월호)
김득준(金得俊) 서울대학교 교수(1948~) 김득준 교수는 1970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생화학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후 도미하여 현재 Pennsylvania 주립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이시며...


한국을 빛낸 화학자 27(2025년도 2월호)
김하석(金夏奭)서울대학교 교수(1945~) 한국전기화학회 회장, 국제전기화학회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 ISE) 회장을 역임한 김하 석 교수님은 한국의 전기화학과 분석화학을 국제 무대에...


한국을 빛낸 화학자 26(2025년 1월호)
유 룡(劉龍)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석좌교수(1955~) 유룡 교수님은 한국을 대표하는 나노다공성 재료화학 분야의 석학입니다. 유 교수님은 새로운 메조다공성 물질(mesoporous materials)의 합성과 촉매 응용성 개척을 통해, 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