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화학산책] 말(斗), 몰(mole), 물(H2O)의 관계(2025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516aeec60d7640908b58eef20c636000~mv2.png/v1/fill/w_496,h_250,fp_0.50_0.50,lg_1,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516aeec60d7640908b58eef20c636000~mv2.webp)
![[화학산책] 말(斗), 몰(mole), 물(H2O)의 관계(2025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516aeec60d7640908b58eef20c636000~mv2.png/v1/fill/w_454,h_229,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516aeec60d7640908b58eef20c636000~mv2.webp)
[화학산책] 말(斗), 몰(mole), 물(H2O)의 관계(2025년 5월호)
여인형 | 동국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 ihyeo@dgu.ac.kr 우리나라 속담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 표현이 있다. 그것은 통상적으로 흔히 욕을 비롯한 나쁜 일을 상대에게 주면 훨씬 더 많은 나쁜 일을 받는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홉(荅),...


KCS NEWS - 2025년 5월호
4월 운영위원회 2025년 4월 11일, 대한화학회 사무실에서 운영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총무분과에서는 화학물질안전원 용역과제인 “화학사고물질 위해정보 소통작업반” 사업의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APEC 포럼 준비 현황과 NRF 양자기술단 개방형...


과학 영재 기초잡는 초등일타과학(2025년 5월호)
이광렬 지음 | 코리아닷컴 2025. 4. 15. 출간 | ISBN 9791190488587 목 차 이 책을 쓴 쌤의 편지: 이 책을 펼친 멋진 친구에게 1단원.원자와 분자, 그리고 물질 2단원. 기체의 성질 3단원. 물질의 상태,...


한국을 빛낸 화학자34(2025년 5월호)
이상엽(李相燁) 서울대학교 교수 (1955~) 이상엽 교수는 1955년 청주에서 출생하여 1973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학부를 졸업하였습니다. 이후 당시 물리화학 전공이던 김영식 교수와 1979년...


한국을 빛낸 화학자 33(2025년 5월호)
최병석(崔炳晳) KAIST 교수(1951~) 지난 30여 년간 국내 NMR과 구조 생화학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신 최병석 교수님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로 소개하게 되어 최 교수님의 제자로서 대단히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5월호)
강태호 Taeho Kang 고려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taehokang@korea.ac.kr , sites.google.com/view/tkanglab ■ KAIST 화학과, 학사(2011.2 - 2017.2) ■ The Scripps...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5월호)
김민준 Minjun Kim 경기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minjun.kim@kyonggi.ac.kr ■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화학과, 학사 (2004.3 - 2013.2) ■ 부산대학교 화학과, 석사(2013.3 - 2015.2,...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5월호)
김민경 Minkyung Kim 가천대학교 약학과, 조교수 minkim@gachon.ac.kr ■ 고려대학교 생명공학과, 화학과, 학사 (2005.3 - 2010.2) ■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박사 (2010.3 - 2017. 2,...


암호화 라이브러리 플랫폼 기술: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2025년 5월호)
이강주, 왕희명, 임현석*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교수, hslim@postech.ac.kr 서 론 본 연구실은 암호화 라이브러리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화학세계...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공명과 산화환원 촉매 작용(2025년 5월호)
유성주 | 아주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sungjuyu@ajou.ac.kr 서 론 금속 나노구조체는 특정 파장의 전자기복사선을 흡수하여 표면 전자들이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플라스몬 공명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나노입자...


총설에 부쳐-고효율 광촉매 소재 개발 (2025년 5월호)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또는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바꿀수 있는 광촉매 활용 기술은 1972년 일본 과학자에 의해 처음 밝혀졌습니다. 이들은 이산화티탄 전극에 밴드갭 이상의 광에너지를 조사하면 전극 표면에서 기포가 생성됨을 관찰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186,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226,h_303,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
삼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현준 교수님은 1959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마산고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셨습니다. 이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고, 스탠포드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