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원자는 실재하는가 (2025년 2월호)
원자라는 개념은 돌턴 이후로 화학에서 핵심적인 역할 을 수행하였습니다. 19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단언컨대 원 자 개념의 유용성을의심하는 화학자는 없었습니다. 하지 만 원자가“실재”하는 존재인지에 대해서는 화학자들마다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원자...


독자적인 주제와해결방법을 가지고계속 도전하시길 바랍니다(2025년 2월호)
2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에서는 현재 ETH 재료과에 재직 중이신 최태림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최 교수님께서는 2004년부터 4년간 제일모직에 근무하였고, 2008년부터 서울대학교 화학부에서 14년간 재직 후, 2022년부 터 유럽 최고의...


상평형 그림에 산업의 활용을 더하여 (2025년 2월호)
천만석 | 한국과학영재학교 화학생물학부 화학교사, manstone@ksa.kaist.ac.kr 서 론 고등학교 화학II에서 ‘평형을 이해하고, 상평형 그림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라는 학습 목표를 가지고 상평형을...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를 위한실리콘 음극재 개발 방향(2025년 2월호)
박인규, 채오병* | 가천대학교 화공생명배터리공학부 배터리공학전공 교수, obchae@gachon.ac.kr 서 론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그...


고효율 전자-정공 분리를 갖는TiO2 광촉매 원자/전자 구조의 이론적 설계(2025년 2월호)
김상훈, 강민재, 유윤재, 김민호* | 경희대학교 응용화학과 조교수, minho.kim@khu.ac.kr 서 론 TiO2(이산화타이타늄, titanium dioxide)는 광촉매로서 자외선(ultraviolet, UV)...


미래화학 맞춤형 인재 교육연구팀(2025년 2월호)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204호 02) 2220-1591 jhcechem@hanyang.ac.kr 한양대학교 화학과 BK교육연구팀(팀장: 장진호 교수)은“기존 독립적 학문 체계를 벗어난...


나노바이오 실험실(2025년 1월호)
전세계 공중보건과 환경을 위한 연구 저희 나노바이오 실험실은 2016년 강동구 교수님께서 인 천대학교 화학과에 취임하신 이후부터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재 실험실은 크게 두 가지 분야로 나눠져 연구를 하고 있 으며, 전 세계 공중보건을 위협하는...

KCS NEWS - 2025년 1월호
12월 운영위원회 2024년 마지막 운영위원회 제9차 회의는 12월 13일 상연 재에서 개최되었다. 총무 분과에서는 2024년 예상 예산 결산 및 2025년에 진 행될 학술대회, 미래혁신 심포지엄, APEC Young Chem- istry...

브초 가족의 유쾌한 화학 생활 (2025년 1월호)
이광렬 , 김병윤 , 김태경 지음 | 김영사 2024. 11. 12 출간 | ISBN 9788934928669 목차 시작하는 글 1장. 거실, 편안한 화학 수다 개도 자일리톨 껌을 씹을 수 있을까?/ 산소수, 수소수, 탄산수 잡는 트림/ …...

한국을 빛낸 화학자 26(2025년 1월호)
유 룡(劉龍)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석좌교수(1955~) 유룡 교수님은 한국을 대표하는 나노다공성 재료화학 분야의 석학입니다. 유 교수님은 새로운 메조다공성 물질(mesoporous materials)의 합성과 촉매 응용성 개척을 통해, 이...

한국을 빛낸 화학자 25 (2025년 1월호)
김 관(金冠)서울대학교 교수(1949~) 김관 교수님은 표면 및 계면에 존재하는 분자의 거동 을 연구하는 분광학 및 표면-계면화학 분야의 1세대 개 척자로 물리화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다양한 표면 위에서 분자 거동의 이해는 효율적인...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1월호)
김 형 준 Hyungjun Kim 한양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kimhyungjun@hanyang.ac.kr, https://qclab.weebly.com ■ KAIST 화학과, 학사(2005.3 - 2008. 1) ■ KAIST 화학과,...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1월호)
김 예 진 Ye-Jin Kim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조교수 yejkim@snu.ac.kr, https://www.xceleratinglab.com/ ■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학사 (2012. 3 - 2016. 2) ■ 울산과학기술원...


시작과 끝에 대한 이야기 (2025년 1월호)
본 적 없는 시작과 끝을 갈망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인 듯싶다. 되돌아갈 수 없는 장대한 시간 속에서 인간과 생명의 시작, 그리고 우주의 탄생 순간을 끝없이 밝혀내려 노력하며, 허락된 시간 바깥 너머에 있을 우주의 마지막 순간을 상상하고 예측하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