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2025년 8월호)
- 洪均 梁
- 8월 1일
- 5분 분량

설립목적
재미과협은 한국의 선진국 대열 진입과 함께 이제는 양국 간의 대등한 위치에서 글로벌 과학기술교 류와 협력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재미과협 회원들은 과학기술, 의학을 전공하는 학부생들로 부터 대학원생(석사, 박사), 포스트닥, 과학기술전문인 (연구소, 대학, 정부기관, 기업체 등 근무), 은 퇴과학기술자 등으로 구성되어 과학기술 발전과 한미 간 과학기술 교류에 가교 역할을 해왔다. 재미과협은 미주 각 주에 70여개의 로컬 지부(Chapter/Branch), 22개의 차세대 지부(각 대학별), 35개의 과학기술관련 전문단체(KSEA APS, Affiliated Professional Society)를 두고 있으며, 협 회 조직은 45명의 평의원과 3명의 감사, 20여명의 임원진(Executive & Directors Committee), 12개의 상임위원회, 16개 분야의 테크니컬 그룹, 사무국 직원으로 구성된다. 회장과 2명의 부회장, 감사, 테크니컬 그룹 카운슬러들은 매년 4월 회원들의 전자투표에 의해 선출된다.
화학 분야 회원들의 KSEA 참여도 활발하여, 2025년 5월 현재 KSEA 유료회원들 중 1529명이 화 학분야 소속으로 학교, 연구소, 기업 등에서 활동 중이다. 이에, KSEA와 대한화학회 (KCS)는 한국 과 미국의 화학 관련 분야 연구진들 간의 교류를 활발하게 하는 목적으로, 2025년에 MOU를 추진 하였다. 이번 MOU를 기반으로, 양국 한인과학자들간의 연구 관심 분야에 대한 정보 교류가 원활해 져 화학분야 국제공동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추진사업
1971년 12월 11일 워싱턴 D.C.에서 69명의 한인 과학기술자들이 모여 ‘한국과학기술 자협회’ 창립총회(초대회장 김순경 박사)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한미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역사적인 닻을 올린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Korean-American Scientists and Engineers Association, KSEA)는 현재 53대 회장단이 임기를 진행 중이다.(2024. 7 - 2025.6) 등록회원 30,000명, 활동 회원 7,000명 이상을 보유한 재미과협은 지난 50 여 년 동안 한미 양국의 과학기술발전과 함께, 2세 과학기술전공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하고, 미주 한인사회의 과학기술관심도 저변 확대에 기여해 왔다.
01 연례 한미과학기술학술대회
(US-Korea Conference on Science, Technology and Entrepreneurs, UKC)
1974년 과학기술 종합심포지움으로 시작된 한미과 학기술 학술대회는 매년 7, 8월 개최하며 한미 양국으로 부터 정부, 정치계,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 등으로부터 1,000명 이상이 참석하여 학술발표와 토론, 창업경진대 회, 네트워킹의 기회를 제공한다. 12개의 테크니컬 심포 지엄과 융합 세션, 주제별 포럼, 차세대 포럼, 여성과학기 술자포럼 등이 개최되며, 취업박람회, 포스터 발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2024년 8월 제 37회 UKC 2024 가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되어 1000 명 이상이 참석했다. UKC 2025 는 2025년 8월 6일-9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개최된다 (https://ukc.ksea.org).
02 전문분과(Affiliated Professionals Societies) 학술대회
재미과협은 35개 전문 과학기술 분과단체인 APS (Affiliated Professional Societies)의 행사를 지원하고, 전 문분야의 첨단 과학기술 동향을 공유함은 물론 미국 내 한인 과학기술전문가들의 네트워킹과 저변확대를 도모해 왔다.
03 한국내 기관들과의 과학기술관련 프로젝트 사업
매년 다수의 용역프로젝트를 시행해 왔다. 지난 수년 간 시행된 프로젝트는 아래 참조
■ 국내 기관 용역 프로젝트
산업기술평가원(KEIT) : 유망기술발굴 R&D 프로젝트
산업기술평가원(KEIT) : 글로벌 기술동향정책 수요조사
산업기술평가원(KEIT) : R&D 기관 심층조사 프로젝트
산업기술평가원(KEIT) : 해외기술동향조사 프로젝트
산업기술평가와(KEIT) : 석학 자문단 DB
과총(KOFST) : 글로벌 과학기술자 DB 프로젝트
과총(KOFST) : Global Technical Trend 프로젝트
과총(KOFST) : World Conference Manual 프로젝트
산업기술진흥원(KIAT) : 수요조사 및 컨설팅
산업기술진흥원(KIAT) : 글로벌 기술협력지원단(K-TAG) 구축
건설기술연구원(KICT), 건설교통기술평가원(KICTEP) 과 R&D 공동연구 시행
한국철도기술연구원(KRRI) : 4차산업혁명 기술을 활용 한 스마트철도 아이디어 발굴 프로젝트 시행
서울시와 4차 산업혁명 활용을 통한 ‘스마트시티 서울’ 구 현 방안 연구, COVID-19 팬데믹 아이디어 공모 등 다수
04 공동 협력 비지니스를 위한 MOU 협약 체결
2010 국가핵융합연구소(NFRI),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한국무역협회(KOTRA), 한국과학창의재단(KOFAC)
2011 매일경제신문(MBN),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우수기술연구센터(ATC) 협회, 한국표준 과학연구원 (KRISS),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한국건설교통기 술평가원(KICTEP, 현 KAIA), 한국건설기술연구 원(KICT)
20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Koreatech)
2013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DGMIF)
20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MABIK), 서울물연구원, 서 울시설관리공단
2016 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AST), 한국우주과학청소년단(YAK), Univer- sity of Texas at Arlington
2017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2018 중소기업진흥공단(SBC), 중국조선족과학기술자 협회
2019 재외동포재단(OKF), 재독일과협, 서울기술연구원 (SIT)
2020 재미한국학교협의회(NAKS)
2021 창업진흥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Global Biomedical Innovation Human Network Center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주대학교, 과학기술 연합대학원대학교(UST)
2022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
2023 인사혁신처, 한국과학창의재단(KOFAC), 서울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2024 고려대학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대한화학회
05 한국내 기관 대상의 글로벌 교육훈련 및 자문단 프로그램
산업기술평가원(KEIT) :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시행
한국도로교통공단(KoROAD) : 글로벌 연수 프로그램 시행
과총 : 차세대과학기술리더 교류협력 연수 프로그램 시행
대전교육청 : 청소년 국외 과학 연구단지 연수 프로그램 시행
과학기술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부 기초과학연 구원 등과 공동 과학기술자문단, 신진연구단 구축 등 다수의 자문 프로그램 시행
06 젊은 과학기술자 경력개발워크샵
(Scientists and Engineers Early Career Work-shop,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shop)
과학기술 분야의 박사후연구원, 대학교의 조교수급, 산업계의 초급 연구원, 박사학위 예정자를 포함한 젊은 한 인과학기술자들에게 경력개발을 위한 연구비취득 등 유용 한 정보와 실질적인 조언,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으로써 이 들이 학계와 업계에서 우수한 경력을 쌓도록 지원해 왔다.
07 청년과학기술지도자 학술대회
(Young Generation Technical and Leadership Conference, YGTLC)
1.5세, 2세를 중심으로 개최되는 학술대회는 산업 계와 학계 지도자들의 최첨단기술에 대한 강연과 토론, 워크샵, 경력개발 행사와 네트워킹 프로그램, 포스터 발 표, 리더십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으며, 1.5세와 2세 과 학기술지도자 지망생들의 연구성과의 발표 기회 제공하 고 있다. 학부생 대상은 Katalyst, 대학원생 및 전문인 대 학은 IMPACTs로 구분하여 행사를 진행해 오고 있다.
08 청년 과학기술 전문인 포럼
(FIRE: Young Generation & Professional Forum, YGPF)
UKC 기간 동안 진행되는 포럼으로 과학기술과 산업 분야의 차세대 학부생들과 대학원생, 그리고 전문인들을 초청해 각 분야의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동시에 미래 비전 을 키우고 참석자들 간의 네트워크를 조성해 왔다.
09 전국 수학과학경시대회
(National Math & Science Competition, NMSC, http://ksea.org/nmsc)
전국 30여개 지부가 참가하는 전국 수학과학경시대 회는 지난 14년 동안 매년 4월 시행되어 왔으며, 3-11학 년까지는 수학, 과학, 9-11학년을 대상으로는 물리경시대회를 실시하였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 년과 2021년에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여 전국수학과 학경시대회를 동시에 시행하여 물리적 공간적 범위를 넓 힘으로 미 전역에서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수 있는 기회 를 제공한다.
10 청소년과학기술지도자 캠프
(Youth Science & Technical Leadership Camp, http://ystlc.ksea.org)
미국과 한국의 중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여름 방학 동 안 청소년과학기술지도자 캠프를 시행하여, 노벨상 수상 자와의 간담회, NASA 화성탐사 모형 프로젝트, CSI 모 의 실험, 유명대학 실험실 및 병원 실습, 과학기술연구소 방문, 진로 상담, 선배과학기술자들과의 네트워킹 기회 제공하고 있다. 2021년에는 GN Korea와 공동으로 대전 시 교육청 주최 ‘2021년 학생 국외과학연구단지 체험프 로그램’의 용역의 해외 강연 부문을 맡아 미국의 저명 석 학들과 KSEA 임원들이 강사로 참여하여 온라인 캠프 프 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1 학부/대학원생 대상 재미과협 장학금 수여
(Scholarship Program, http://scholarship.ksea.org)
매년 학부생 20명과 대학원생 20명을 선발하여 각 각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으며, 대학원 장학생들은 UKC 행 사에 초청되어 장학금 수여하였다. 2021년부터 장학금을 학부생은 1,500 달러, 대학원생은 2,000 달러로 500 달 러씩 상향 조정하였다.
12 70개 로컬 지부 단위의 행사 지원
재미과협 소속의 70여개 지부(Local Chapters
/Branches)들은 한해 동안 다양한 활동을 마련하여 멤버 쉽 강화와 함께 회원들간의 상호네트워크 증진, 학술분야 와 경력개발 등에 기여하고 있다.
13 지역별 컨퍼런스(Regional Conference)
재미과협은 전 미국에서 근접한 지역 소재 여러개의
지부들이 모여 공동으로 개최하는 지역별 컨퍼런스를 지 원하며, 지역별 한인과학기술자들의 첨단 과학기술동향 공유와 네트워킹을 지원한다.
14 KSEA Young Investigator Grant (YIG, 젊은 과학자 그랜트)
재정적 지원을 위해 2011년 설립됐으며, 박사학위를 취득한지 6년 미만의 과학기술자들을 대상으로 신청서와 연구계획서를 접수, 평가를 거친 후 2명을 선정해 각 1만 달러씩 그랜트를 지급한다. 그랜트는 UKC 행사 중 시상 식에서 수여하고 있다.
15 STEP-UP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Partners’ Upscale Program)
첨단과학기술 분야에서 재미한인들의 창업과 벤처사 업 지원을 위해 STEP-UP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STEP-UP 을 UKC 행사 기간 동안 개최되는 IES Start- Up Pitch Competition과 연계함으로 더 많은 창업가들 이 충분한 기간 동안 준비하여 창업경진대회의 양적 질적 수준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16 과총 공동 사업
한국의 포스트닥/대학원생들을 초청하여 미국 내에서 글로벌 과학기술연수 및 경력개발 프로그램(8박 9일) 을 운영하고 있다. 2020, 2021년에는 팬데믹으로 인하여 온라인을 통해 UKC 기간 동안 미국과 한국의 대학원생들 이 참여할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정하였다. 또한 미국 내 차세대 과학기술 그룹(Net Group)을 선발하여 창업 및 연 구에 대한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으며, 미국 내 차세대 과학기술전공 학생들과 전문인들을 선발하여 포럼과 네트 워킹 프로그램에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2021년에는 팬데믹으로 인해 Young Generation Forum (YGF), Young Professional Forum (YPF), YG/YP Alumni Network Forum을 미국에서 개최하였다.
17 온라인 Science Concert 개최
한국과 미국의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미국의 저명한 과학기술 석학들이 강사로 진행하는 온라인 Science Concert 개최하고 있다.
18 재미과협 회보 발간(KSEA Letters)
2개월에 한 번씩 e-NewsLetters와 6개월에 한 번씩 회보를 발간하여 협회 주요 행사와 Technical Journal 등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19 Job Board를 통한 취업 알선
KSEA Website에 채용 공고 페이지를 통해 한국 주요 기관과 미국기관들의 채용기회를 공지함으로 회원들에 게 취업의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한국 기관들에게는 미국 내 고급 과학기술두뇌들의 유입을 지원한다.
20 재미한인과학기술자 Database 구축 사업
과거 회원총람으로 시작됐던 회원 명부 작성은 이제 회원들의 개별 database로 해마다 업데이트하여 미국 내 과학기술자들의 최근 인적 자원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21 KSEA Awards 수여 (과학기술정통부, 과총, 매경과 공동 수여)
협회 포상위원회는 매년 최고공헌상과 과학자상, 기 술자상, 기업인상 등을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과총, 매경 과 공동수여하며, 자체적으로는 최고 지부상, 차세대 리더 상, 지역사회 봉사상 등을 수여하여 재미과학기술자들의 위상 향상에 기여해 오고 있다.
22 Distinguished Speaker Series (과학기술 명사와의 대화 월간 행사)
재미과협은 일반 대중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 이고 청소년들과 과학기술전공 학생들의 멘토링을 위해 세계적인 과학기술 석학, 기업체 CEO 등 명사와의 대화 행사를 월1회 이상 온라인으로 개최하고 있다.
23 Senior Forum Series (은퇴과학자 포럼)
재미과협은 현직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앞두고 있 는 과학자 공학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노후의 경력 유지와 후생, 복지, 재정 관리 등에 관해 매월 1회씩 세미 나를 개최하여 연구자로서의 커리어가 은퇴 후에도 유지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협회장을 통해 듣는 한마디

오 태 환 협회장
로체스터 공과대학 교수 / 53대 KSEA 회장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의 53대 회장 오태환입니다. KSEA 는 미주 지역사회의 과학기술 네트워킹을 넘어 과학 및 공학 분 야의 재미한인 전문가들을 연결하는 선도적인 비영리 단체로, 1971년 창립 이래 지난 50여년 동안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 뿐 아 니라 미국의 과학기술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가교 역할을 해 왔습니다. KSEA는 매년 1000명이 넘는 과학자 및 공학자들의 참석하는 한미과학기술 컨퍼런스(UKC), 국제 R&D 파트너십, 교육 아 웃리치 프로그램 등 대규모 컨퍼런스를 통해 북미 지역의 수천 명의 과학자와 공학자들의 역량을 키웠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과 학 성장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많은 KSEA 회원들이 한국으로 돌아와 대학, 연구기관, 국립연구소 등에서 리더십 역 할을 맡아 KIST, 포스텍, DGIST, GIST와 같은 세계적인 과학기술 연구 기관들의 설립에 직접적으로 기여했습니다. KSEA는 차세대 인재 지원, 신흥 기술에 대한 전문가 컨설팅 제공, 스마트시티, 바이오테크, AI, 첨단 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국가 전략을 안내하는 등 한국의 혁신 지형을 적극적으로 형성해 왔습니다. 한국이 글로벌 과학 입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에 따 라, KSEA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지식 허브, 핵심인력, 아이디어, 기회의 연결자로서 더욱 큰 역할을 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 다. 앞으로 KSEA는 과학기술 분야에서 혁신과 글로벌 협력을 위해 더욱 강력한 원동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저자 소개

이 영 종 박사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USA
이영종 박사는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분광학 연구로 물리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텍사스 주립 대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친 후, 2006년부터 미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이영종 박사는 NIST에서 infrared (IR)과 Raman 분광법과 이미징 기술에 기반해 측정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KSEA에 서는 2022년 UKC 화학분야 좌장으로 2023년부터는 화학분과 평의원으로 봉사하고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