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환각 없는 환각제는 약이 된다(2025년 9월호)
우리 몸에는 침묵의 장기라 불리는 것들이 있다. 종양 을 비롯해 손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알아채기 어렵고 증상이 확인된 상황에서는 이미 골든타임을 놓쳐버린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침묵만큼이나 두려운, 화학자들에게는 친숙한 단어인 비가역적...


링커 기술로 세계를 겨눈다,ADC 플랫폼 혁신의 개척자 (2025년 9월호)
『화학세계가 만난 화학자』 2025년 9월호에서는 항체-약물 접합체(ADC) 분야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주) 인투셀의 박태교 대표이사님을 만나보았습니다. 박 대표님은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MIT에서 화학 박 사 학위를...


2022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개선 방안(2025년 9월호)
김근유 | 배재고등학교 화학교사, gunew.kim@snu.ac.kr 1. 보고서의 목적 및 배경: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현장 적용의 한계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단일항 분열: 삼중항 쌍 생성 동역학(2025년 9월호)
김우재 | 연세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woojae@yonsei.ac.kr 서 론 유기 반도체 물질은 1910년대에 처음 그 광학 및 전기 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현재까지 약 100여 년 넘도록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이산화탄소의 광전기촉매적 환원을 위한 고성능 하이브리드 촉매 시스템 개발 및 전략(2025년 9월호)
권채연, 이동현, 이소현, 홍영현* | 서강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yhhong@sogang.ac.kr 서 론 에너지 연구 분야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지속 가능한 화학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은 여전히 해결이 시급한 핵심 과제로,...


KCS NEWS - 2025년 9월호
대한화학회 운영진, 사무국 활동사항(8월) 2025. 8. 5. 미래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전략 기획위원회의, KAST 2025. 8. 9. 한국화학올림피아드 여름학교 수료식, DGIST 2025. 8. 11. BKCS 편집위원회의 ...


게으른 자를 위한 아찔한 화학책(2025년 9월호)
이광렬 지음 | 블랙피쉬 2025. 6. 11. 출간 | ISBN 9788968334986 목 차 프롤로그 1부 독과 음식 1장 독이 있는 음식 2장 많이 먹어서, 안 먹어서 만드는 병 3장 약을 죽이는 음식 4장 독 잡는 건강...


한국을 빛낸 화학자 42(화학세계 9월호)
고종성(高鐘聲) GENOSCO 대표이사 (1957~) 고종성 대표는 1957년 강원도 횡성군에서 태어나 횡성, 원주에서 유년기를 보냈으며 원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1979)를 졸업하였다. KAIST에 진학하여 KAIST 총장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 41(화학세계 9월호)
김명수(金明洙)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948~) 김명수 교수님은 1948년 10월 28일 서울에서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7년 서울대학교 수석으로 문리과대학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1년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멘티편
김효종 | 서울과학고등학교 3학년, 최예준 | 서울과학고등학교 3학년 이예준 | 대구과학고등학교 3학년, 심유찬 | 서울과학고등학교 3학년 김효종 학생 7월 4일 – 출국일 출국 당일 아침까지도 내가 국제대회에 참가한다는 사실이 실감 나지...


경북대학교 BRL 후속연구인 ‘나노바이오 융복합형 고성능 분석 시스템 연구실(2025년 9월호)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053)950-5336 hyejinlee@knu.ac.kr https://www.hjl.knu.ac.kr 경북대학교 BRL 후속연구인 ‘나노바이오 융복합형 고성능 분석 시스템 연구실’(연구단장...


2025년 제57회 국제화학올림피아드 참관기 -멘토편
7월 5일(토) - 출국 및 두바이 도착 프롤로그 여러 해 동안 화학올림피아드 위원으로 활동했지만, 국제화학올림피아드(IChO) 현장을 직접 밟는 건 처음이다. 지난해 모니터 너머로 참가했을 때와는 다르다. 인천공항으로 향하는 발걸음에 알...


에너지전환소재연구실(2025년 9월호)
버려지는 열을 다시 쓰다:진틀 화합물 기반 열전소재 연구 에너지전환소재 연구실(Energy C nversi n Material Lab)은 2010년 가을, 충북대학교 화학과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 배터리 전극 소재용 Li-rich 화합물,...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9월호)
정준영 Joonyoung F. Joung 국민대학교 응용화학부 나노소재전공, 조교수 jjoung@kookmin.ac.kr , https://sailabjfjoung.wixsite.com/sail ■ 인하대학교 화학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