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총설에 부쳐-비공유 상호작용 기반유기반응 선택성 조절(2025년 11월호)
서 론 반응이 일어나는 순간, 분자 내부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힘겨루기’가 벌어집니다. 두 개 이상의 가능한 경로가 존재할 때, 어떤 전이상태가 가장 안정적인가에 따라 반응의 방향이 결정됩니다. 유기화학자들이 오랫동안 고민해 온 이 ‘선택성’의 문제는 단지 효율적인 합성의 과제를 넘어, 분자 수준에서 정밀하게 세계를 설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합니다. 전통적으로 선택성은 입체장애나 전하 분포 같은 물리적 억제를 통해 조절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응 경로를 차단하기보다는, 전이상태 자체를 선택적으로 안정화하는 전략, 즉 비공유 상호작용을 활용한 정밀한 제어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생체촉매인 효소가 이러한 전략의 정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존재로, 약한 상호작용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놀라운 반응 특이성과 반응속도를 구현합니다. 이러한 생물학적 원리를 모방하여, 비공유 상호작용을 촉매 설계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은 현재 유기합성 분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복합 전극 내 반응 동역학 이해의 중요성:Ni-rich–LiFePO₄ 혼합 복합 양극과 흑연–실리콘 복합 음극 사례(2025년 10월호)
강명수, 김인호, 김민규* | 인하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minkyu.kim@inha.ac.kr 서 론 리튬이온전지(Lithium-ion batteries, LIBs)는 전자기기,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전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차세대 응용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빠른 충전 속도, 긴 수명, 그리고 안정성을 동시 에 달성해야 한다.[참고문헌 1] 최근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활물질을 혼합한 composite 또는 blended 형태의 복합 전극이 주목받고 있다.[참고문헌2, 3] 서로 다른 재료를 전극 내에 혼합하면 단일 재료 전극에서는 드러나지 않던 새로운 반응 경로와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전지의 효율과 수명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지만, 역으로 반응이 특정 상에 과도하게 집중되거나 전위–전류 분포가 불균일해져 분극과 열화를 가속할 위험도 존재한다. 따


단일항 분열로 태어난삼중항 쌍 다중 엑시톤의 스핀 동역학(2025년 10월호)
김준오 | 인하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junokim@inha.ac.kr 서 론 단일항 분열(singlet fission)은 빛에 의하여 들뜬 하나의 단일항 상태가 두 분자에 걸친 삼중항 쌍(triplet par)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전기화학 분자변환 연구센터(2025년 10월호)
부산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학로 63번길2 606동(화학관) 116-1호 051) 510-7346 wooni99@pusan.ac.kr 전기화학 분자변환 연구센터(Center for Electro-chemical Molecular...


전산 에너지/바이오 소재 연구실(2025년 10월호)
Broad scope, Coherent core 2020년 POSTECH에서 첫걸음을 뗀 저희 연구실은 2024년 하반기에 서울대학교로 옮겨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해질, 고분자, 바이오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흥미를...


한국연구산업협회(2025년 10월호)
협회장을 통해 듣는 한마디 박 한 오 협회장 ㈜바이오니아 대표이사 안녕하십니까? 한국연구산업협회 회장 박한오입니다. 세계는 지금 인공지능이라는 문명 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기존의 시장을 와해하고 또 새롭게 창출 하는...


암모니아 합성 교육으로 배우는 탄소중립 사고(2025년 10월호)
김주영 |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chris@gnu.ac.kr 서 론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이 전 지구적 과제가 된 오늘날, 화학교육 현장에서도 근본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화학교육이 주로 반응 메커니즘과...


지부 및 분과회 행사후기(2025년 10월호)
2025년도 대한화학회 영남지역 공동 학술대회 - 연구와 교류의 장, DGIST에서 화학의 미래를 열다 - 심도 있는 학술 발표 이번 학술대회는 총 세 개의 구두 세션과 포스터 세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화학 분야의 심도 깊은 연구 발표가...


KCS NEWS - 2025년 10월호
9월 운영위원회 2025년 9월 12일 대한화학회 사무실에서 대면 및 비대면으로 운영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총무분과에서는 새롭게 구성한 대한화학회 화학교육과정 연구회에 대해서 보고하였다. 대중화 위원회에서 진행할 올해의 분자 선정 및 발표 계획에...


알케미아(2025년 10월호)
최정모 지음 | 바다출판사 2025. 7. 25. 출간 | ISBN 9791166893605 목 차 들어가는 글 1부 연금술의 여명, 세계를 설명하려는 욕망 1장. 고대 그리스, 연금술의 두 뿌리 … / 3장. 중세 유럽, 현자의 돌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 44(화학세계 10월호)
김병현(金秉玹) POSTECH 교수 (1955~) 한국 핵산 화학의 선도적 연구자 김병현 교수님은 1988년부터 2020년까지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과에 재직하며 핵산 화학(nucleic acid chemistry) 분야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 43(화학세계 10월호)
김기문(金基文) POSTECH 교수 (1954~) 예술(藝術)을 사랑한 과학(科學)자 과학자라고 하면 예술과는 거리가 멀다는 편견을 많이 갖고 있습니다. 김기문 교수님은 미술과 음악을 사랑하셨던 과학자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학자일...


신진연구자 소개(2025년 10월호)
이윤미 Sarah Yunmi Lee KAIST 화학과, 부교수 sarahyunmi@kaist.ac.kr , https://cataleesis.kaist.ac.kr/ ■ KAIST 화학과, 학사(2005.3-2009.2) ■ MIT 화학과,...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