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전체기사


한국을 빛낸 화학자38(2025년 7월호)
김광수(金光洙) UNIST 교수(1950~) 이론화학의 거장: 김광수 교수의 학문적 발자취와 과학적 공헌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의 김광수 교수는 지난 수십 년간 이론 및 계산화학과 나노과학을 중심으로 에너지 소재 등 폭넓은 분야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37(2025년 7월호)
정성기(鄭盛基) POSTECH 교수(1945~) 정성기 교수님은 생유기화학 및 의약화학 분야의 선구자로, 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연구 성과와 교육, 행정 리더십을 통해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를 하신 인물이다. 1972년 미국...


한국을 빛낸 화학자36(2025년 6월호)
도영규(都暎圭) KAIST 교수(1950~ ) 도영규 교수님은 1950년 서울에서 태어나셔서 서울대 문리대 화학과를 졸업하시고(1969-1973) 2년간 KAIST 화학과에서 (故)전무식 교수님의 지도 하에 석사학위 과정을 밟으셨습니다. 이후...


한국을 빛낸 화학자35(2025년 6월호)
진정일(陳政一) 고려대학교 교수(1942~) 진정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화학과에서 학사(1964년) 및 석사(1966년) 과정을 마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969년 뉴욕시립대학교에서 고분자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후,...


한국을 빛낸 화학자34(2025년 5월호)
이상엽(李相燁) 서울대학교 교수 (1955~) 이상엽 교수는 1955년 청주에서 출생하여 1973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학부를 졸업하였습니다. 이후 당시 물리화학 전공이던 김영식 교수와 1979년...


한국을 빛낸 화학자 33(2025년 5월호)
최병석(崔炳晳) KAIST 교수(1951~) 지난 30여 년간 국내 NMR과 구조 생화학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신 최병석 교수님을 ‘한국을 빛낸 화학자’로 소개하게 되어 최 교수님의 제자로서 대단히 기쁘고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186,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png/v1/fill/w_226,h_303,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6387908f3e00435fadd747abc3713918~mv2.webp)
[하현준 교수님 추모사] 하현준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도 5월호)
삼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하현준 교수님은 1959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마산고와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를 졸업하셨습니다. 이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고, 스탠포드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셨습니다. ...


한국을 빛낸 화학자 32 (2025년 4월호)
이윤섭(李允燮) KAIST 교수 (1950~) 이윤섭(李允燮, Yoon Sup Lee) 교수님은 1950년 서울에서 태어나 1969년 서울대학교 화학과에 입학하셨다가 미국으로 유학하여 1973년에 드루(Drew)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셨고,...


한국을 빛낸 화학자 31 (2025년 4월호)
서세원(徐世源) 서울대학교 교수(1951~) 구조생물학의 개척자 1982년부터 2016년까지 34년간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로 재직하신 서세원 교수님은 한국 단백질 구조생물학의 기초를 세우고, 이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신 위대한 스승이자...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png/v1/fill/w_324,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webp)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https://static.wixstatic.com/media/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png/v1/fill/w_442,h_341,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f0f1aa_ef41cbf522b44f869c42468eacf2eea7~mv2.webp)
[한만정 교수님 추모사] 한만정 교수님을 기리며 (2025년 3월호)
한만정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한만정 교수님은 경남 하동군 옥종면 월횡리 산골에서 1935년에 출생하셨습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1960년에 졸업하고, 럭키화학공업사에서 근무하다가 서독으로 유학을 떠나 마인츠...


한국을 빛낸 화학자 30 (2025년 3월호)
김동호(金東晧)연세대학교 교수(1957~) 김동호 교수님은 1957년 11월 1일 태어나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1980년에 졸업한 후 미국 워싱턴 대학교 화학 과에서 1984년 이학박사 학위를 받으셨다. 1985년까지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서...


한국을 빛낸 화학자 29 (2025년 3월호)
故 이대운(李大云) 연세대학교 교수(1940~2022) “감사한 일은 모래 위에 쓰고 원망과 섭섭함은 돌에 새 긴다” 즉, 감사한 일은 쉽게 잊어버리고 섭섭하고 원망스 런 일은 오래 간직한다는 인간의 한 단면에 대해서 말씀 해주셨던 선생님. 그저...


한국을 빛낸 화학자 28 (2025년 2월호)
김득준(金得俊) 서울대학교 교수(1948~) 김득준 교수는 1970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생화학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 후 도미하여 현재 Pennsylvania 주립대학교 화학과 명예교수이시며...


한국을 빛낸 화학자 27(2025년도 2월호)
김하석(金夏奭)서울대학교 교수(1945~) 한국전기화학회 회장, 국제전기화학회 (International Society of Electrochemistry, ISE) 회장을 역임한 김하 석 교수님은 한국의 전기화학과 분석화학을 국제 무대에...


한국을 빛낸 화학자 26(2025년 1월호)
유 룡(劉龍)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석좌교수(1955~) 유룡 교수님은 한국을 대표하는 나노다공성 재료화학 분야의 석학입니다. 유 교수님은 새로운 메조다공성 물질(mesoporous materials)의 합성과 촉매 응용성 개척을 통해, 이...


한국을 빛낸 화학자 25 (2025년 1월호)
김 관(金冠)서울대학교 교수(1949~) 김관 교수님은 표면 및 계면에 존재하는 분자의 거동 을 연구하는 분광학 및 표면-계면화학 분야의 1세대 개 척자로 물리화학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다양한 표면 위에서 분자 거동의 이해는 효율적인...


한국을 빛낸 화학자 24
이심성(李心星)경상대학교 교수(1955~) 이심성 교수는 1955년 수원에서 태어나 초등학교를 마친 후 인천중과 제물포고에서 수학하였다. 고려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김시중 교수의 지도하에 무기 및 분석화학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한국을 빛낸 화학자 23
백명현(白明鉉) 서울대학교 교수(1948~) 백명현 교수님(영문명: Myunghyun Paik Suh)은 197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동기 동창인 서정헌 교수와 결혼식을 올린 후 미국 The...


한국을 빛낸 화학자 22
김성진(金星珒) 이화여자대학교 교수(1958~) 독립적인 연구자로 또 직장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든든한 지원군이 있다는 것은 큰 행운입니다. 그 여정의 시작인 대학원 과정을 때로는 칭찬과 격려로, 가끔은 따 끔한 가르침으로 이끌어...


한국을 빛낸 화학자 21
윤경병(尹景炳)서강대학교 교수(1956~) 2009년의 어느 따뜻한 봄날, 연구실에서 그룹 토의를 마치고 점심을 먹은 후 서강대 뒷산인 노고산을 산책했던 기억이 난다. 당시 투고했던 논문이 두어 차례 거절된 터 라 마음이 무거웠다. 그랬던 내게...
bottom of page